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 회복탄력성 우선순위 도출
Disaster-safety Vulnerable Class Derivation of Priority Factors for Disaster Resilience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7 No.1
- : KCI등재
- 2021.01
- 1 - 20 (20 pages)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재난이 발생함에 따라 재난에 취약한 재난안전취약계층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재난안전취약계층의 회복탄력성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우선이 되어야하는지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AHP 분석 대상은 재난관련 전문가(공무원, 연구자 등)이며, 일관성이 낮은 설문지를 제외한 총 10개의 설문이 분석 자료이다. 분석 결과, 회복탄력성 우선요인으로는지역사회 요인(0.371)→법제도 요인(0.300)→경제적 요인(0.170)→재난심리 요인(0.159)이며, 각 요인내 우선순위는 법률(조례)(0.351), 주민참여(0.246), 재난안전예산(0.255), 심리지원예산(0.342)이었다. 종합적 우선순위로는 법률(조례), 주민참여, 지방정부-공동체 신뢰, 지원제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결과에 따라서, 재난안전취약계층의 회복탄력성을 제고하기 위해 지방정부의 조례에 대한 수정·보완과 지역 사회 내 지원제도 시행에 있어서 지방정부-공동체 신뢰 및 주민참여에 대한 행정·정책적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resilience of the disaster-safety vulnerable class. To this end, AHP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factors of Disaster resilience of the disaster-safety vulnerable groups. The AHP survey was distributed to disaster experts(public officials, researchers, etc.), and a total of 10 surveys were analyzed. Analysis result, the priority factors for resilience of the disaster-safety vulnerable groups were community factors(0.371) → legal system factors(0.300) → economic factors(0.170) → disaster psychology factors(0.159). The priority within each factor is laws(ordinances), resident participation, local government-community trust, and support systems were derived. In order to enhance the resilience, administrativ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local government-community trust and resident participation were presented in amendment and supplementation of local government ordinances and implementation of support systems within local communiti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AHP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