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750.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국립공원 도서지역 봄철 철새도래 현황

The status of migratory birds stopped over on islands of Korea National Parks

  • 66

봄철 철새의 중간기착지로 이용되는 도서지역에서의 철새 도래 현황과 지역적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해안, 남해안, 동해안에서 동시에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은 서해안의 어청도, 흑산도 및 홍도 지역, 남해안의 소매물도, 거문도지역, 동해안의 울릉도 지역이며, 조사 기간은 2015년 4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어청도에서 총 83종 1,459개체, 홍도에서 총 64종 682개체, 흑산도에서 총 76종 1,073개체가 기록되었으며, 소매물도에서 총 53종 576개체, 거문도에서 총 50종 1,043개체, 울릉도에서 총 43종 1,531개체를 확인하였다. 서해안의 어청도에서 종수, 종다양도 및 종 풍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흑산도, 홍도 순이었다. 철새의 봄철 이동에 있어 서해안이 중요한 중간기착지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간기착지는 철새들의 이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장기 모니터링을 통하여 주요 도서지역 관리 및 서식지 보전에 대한 기초자료 축적이 필요하며, 철새의 이동경로 파악을 위해 가을철에도 도서지역 동시모니터링을 실시해야할 필요가 있다.

We monitored migration status of birds at islands of 3 seas in Korea(Yellow, South, East), focused on National Parks from April 28th 2015 to April 30th 2015. Research sites are Eocheong-do, Heuksan-do and Hong-do in Yellow sea, Geomun-do and Someamul-do in South sea, Ulleung-do in East sea. Total 83 species and 1,459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Eocheong-do and total 64 species and 682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Hong-do. Total 76 species, 1,073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Heuksan-do and Totla 53 species, 576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Someamul-do. We also observed total 50 species and 1,043 individuals in Geomun-do and total 43 species, 1,531 individuals in Ulleung-do during the spring migratory season of songbird. Bidiversity (H ), Richness (R ) Index and number of species of migratory birds were higher in islands of the Yellow Sea rather than the others. It suggests that islands in the Yellow Sea of Korea play a important role for migratory birds as a stopover site. More information and intensive long-term research have been needed to understand migratory patterns of songbirds in this region.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사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