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뇌성마비 청소년의 신체구성, 등속성 근력 및 운동기능의 변화
Changes of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and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 Participating Combined Exercise Program
- 조승환(Cho, Seung-Hwan) 이운용(Lee, Woon-Yong) 이대택(Lee, Dae-Taek)
- 대한운동학회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 제11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9.10
- 95 - 105 (11 pages)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청소년의 복합 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신체구성, 등속성 근력 및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피험자(n=8명, 나이: 15.4±1.6세, 키: 154.9±6.7cm, 몸무게: 46.6±9.4kg, %Fat: 19.2±9.4%)는 뇌성마비 진단을 받은 13세 이상 중등학교 특수 학급 학생이었다. 이들에게는 8주간 주3회 60분씩 개인별 체력 수준에 맞추어 유산소 운동과 근력강화 운동을 병행하였고 운동 4주후 개인 체력 수준에 맞추어 강도가 재설정 되었다. 피험자의 신체구성은 생체전기저항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했고, 등속성 근력은 등속성 운동장비(Biodex Pro4)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운동기능은 대동작기능평가(Gross Motor Function Measures)방법 중 걷기와 관련된 4·5영역을 평가하였다. [결과] 걷기와 근력 복합운동이 뇌성마비 청소년의 신체구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p>.05). 반면 등속성 근력 분석 결과 좌우측 슬관절 신전과 굴곡 최대 근력과 운동기능 변화에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뇌성마비 청소년에게 걷기와 근력 복합운동이 등속성 근력과 운동기능에 제한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and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 participating combined exercise program. [METHOD] Eight men volunteered for this study (15.4±1.6 yrs, 154.9±6.7 cm, 46.6±9.4 kg, 19.2±9.4 %Fat) and they were more than 13 year old who could communicate and exercise by themselves. They performed walking and weight bearing ex-ercise 3 times a week for 8 weeks. Then after 4 weeks, they participated the exercise program again. Body composition for BIA an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for Biodex were measured. Motor function for Gross Motor Function Measures(GMFM) were also measured. [RESULT] Body composition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before and after exercise (p>.05).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Knee extensor and flexor muscular strength and GMF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exercise (p<.05). [CONCLUSION] Combined exercise program affecte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and motor function but did not seem to affect the body composition. In other words, walking and muscular strength combined exercise affected to cerebral palsy youth in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and motor function only.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