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관리를 위한 웹 기반 개인운동처방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Personal Exercise Prescription System for Health Management
- 김동진(Kim, Dong-Jin) 김인규(Kim, In-Kyu) 오윤선(Oh, Yoon-Sun) 신윤정(Shin, Yoon-Jung)
- 대한운동학회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 제12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0.01
- 73 - 82 (10 pages)
[서론] 본 연구는 인터넷 웹 기반의 정보기술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평가하여 운동처방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를 토대로 운동처방 시스템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첫째, 프로그램은 asp 3.0과 MS-SQL 2000 및 Visual Studio interdev로 설계하여 Windows 2000, ME, XP에서 상용화되도록 하였다. 개발과정은 프로그램 계획, 프로그램 설계 및 프로그램 개발의 3단계로 진행하였다. 둘째, 운동처방과 운동프로그램은 사용자 신상정보와 신체적 특성, 그리고 운동에 참여하기 전 안전성 확보를 위해 미국스포츠의학회에서 제시한 위험증상 및 징후평가 질문지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그 평가결과를 운동처방전으로 제공하였다. 셋째, 건강관리를 위한 운동처방 프로그램은 User password file, Report file, Module, D/B file, Graphic file, index file, chart file의 7분야 약 250여 개의 파일로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지속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운동프로그램 실행여부를 기록하게 하고 누적자료를 통계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웹 기반 운동처방 프로그램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개인 건강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운동처방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최상의 운동처방과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에 따라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web-based personal exercise prescription system for health management, and to use the program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hysical capacity. [METHOD] First, the pro-gram was developed using asp 3.0 and MS-SQL 2000 and Visual Studio interdev for use with Windows 2000, ME, XP. The development process was divided into 3 stages; planning, design and development. Second, the exercise prescription and ex-ercise program were developed using physical information, and Exercise Screening Questionnaire data from ACSM. Third, the exercise prescription program consists of over 250 files from 7 different areas including User password, Reports, Module, D/B, Graphic, index, and chart files. Finally, the user was able to record exercise programs and used statistical data for management. [RESULT] The exercise records can be printed out for the user’s convenience. [CONCLUSION] Since this sys-tem provides a real-time exercise program for users utilizing the optimal methods, it enables the user to exercise with stabil-ity and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user s physical status. As a result, we believe this program to be a very effective tool for personal health management.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