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에서 간접방식을 통한 실측 안정시대사량의 특성 및 안정시대사량 실측치와 예측치의 비교
The Characteristics of Measured Resting Metabolic Rate(RMR) and the Comparison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Results of RMR through Indirect Methods in Adults
- 대한운동학회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 제12권 제1호
- : KCI등재
- 2010.01
- 25 - 32 (8 pages)
[서론]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간접방식에 의한 실측 안정시대사량의 특성을 알아내고 예측 안정시대사량과 실측 안정시대사량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안정시대사량의 평가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건강한 성인 82명을 대상으로 신장, 체중, 실측 안정시대사량과 예측 안정시대사량을 측정하였고 자료처리는 남녀별 차이와 안정시대사량의 실측치와 예측치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였으며 측정 자료간의 상호 관련성 분석은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결론] 안정시 산소섭취량, 체중당 산소섭취량, 이산화탄소배출량, 안정시대사량, 체중당 안정시대사량 모두 남성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지만(p<.05) 안정시 호흡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안정시 산소섭취량과, 체중당 산소섭취량, 이산화탄소배출량은 안정시대사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1)를 보였지만 안정시 체중당 산소섭취량은 산소섭취량, 이산화탄소배출량 보다 낮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안정시 호흡률은 안정시대사량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p<.05)를 보였다. 실측 안정시대사량과 예측 안정시대사량과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1)를 보였지만 예측 안정시대사량은 실측 안정시대사량 보다 모두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5). [결론]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간접방식의 실측 안정시대사량 평가시 체중당 산소섭취량과 호흡률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널리 사용되는 4개의 예측 안정시대사량 공식방법으로 한국인의 안정시대사량 측정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measured resting metabolic rate,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edicted RMR and the measured RMR and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e evaluation of RMR. [METHOD] The significance for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d results and predicted results of RMR were tested by paired t-test. Correlation of measured data was obtain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Oxygen uptake(VO˙ 2), VO˙ 2 per weight(WT), car-bon dioxide production(VCO ˙ 2), RMR, and RMR per W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e(p< .05)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iratory quotient(RQ).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O˙ 2, VO˙ 2 per WT, VCO ˙ 2 and RMR(p< .01), but there was a low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O˙ 2 per WT and RMR than VO˙ 2 and V˙CO2..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Q and RMR(p< .0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asured RMR and predicted RMR(p< .01), but there was a significantly lower correlation in predicted RMR than measured RMR(p< .05). [CONCLUSION] VO˙ 2 per WT and RQ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meas-ured RMR through indirect methods and the widely used four formulas of predicted RMR have limits to measure Korean RMR.
서론
연구방법
결과
변인들과 안정시대사량의 상관관계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