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67.jpg
KCI등재 학술저널

24주간의 수중운동이 노인의 신체조성, 건강관련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ater Exercise Program for 24 Weeks on The Body Compositi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Quality of Life in Elders

  • 144

[서론] 노인인구의 증가 추세와 더불어 보건, 의료, 복지 등의 노인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현저한 증가이다. 이에, 보건, 의료, 복지 등의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체력적 개념들과 삶의 질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수중운동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신체구성, 건강관련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운동건강 및 복지 증진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남(13),여(77) 노인 총 90명을 대상으로 신체구성은 Inbody 2.0을 이용하여 체중, 체지방율, 근육량, 허리둘레/엉덩이둘레 비율을 측정했고, 건강관련 체력에서 근력은 악력을, 근지구력은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 유연성은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평형성은 눈뜨고 외발서기, 민첩성은 244cm 왕복걷기를 측정했다. 삶의 질은 주관적 건강인지, 신체활동능력, 일상생활 능력, 신체통증 정도, 활동력 정도, 사회성 능력, 삶의 느낌, 삶의 만족을 조사하였다. 수중운동프로그램은 1일 총 60분으로 준비운동, 정리운동은 10분, 본 운동인 수중운동은 40분으로 구성하였다. 운동 강도는 70%의 수준으로 하였으며, 운동 빈도는 주3회, 24주간 진행되었다. [결과] 첫째, 신체구성 변화에서 남성노인은 체지방율, 허리둘레/엉덩이둘레의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했고, 여성노인은 근육량은 유의하게 증가했고, 체지방율, 허리둘레/엉덩이둘레의 비율은 유의하게 감소했다. 둘째, 건강관련 체력 변화에서 남성노인은 근력, 근지구력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여성노인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민첩성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삶의 질 변화에서 남성노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여성노인은 주관적인 건강상태, 신체활동 능력, 신체통증 정도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노령인구를 대상으로 수행되는 운동건강 및 복지 증진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판단 근거자료로서 중요한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ng term water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quality of life in the aged men and women. [METHOD] Thirteen healthy aged men and 77 aged women participated in the water exercise program voluntarily. The water exercise program was practiced for 60 minutes a day, 3 times a week for 24 weeks. The physiological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water exercise program. The paired-t test were used for finding the significances of mean differences(p<.05). [RESULT] In the body composition, per-centage of body fat and waist-to-hip ratio were effectively decreased in the male elders. Also the muscle mass in the female elder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percentage of body fat and waist-to-hip rati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ealth related fitness, strength and endurance were markedly increased in the male elders, and the strength, endurance, flexibility, and balance of the female elder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quality of lif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ability of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pain values were pos-itively changed in the female elders. but not in the male elders. [CONCLUSION] Long term water exercise pro-gram has the positive effects on the body compositi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quality of life in the aged men and women.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