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69.jpg
KCI등재 학술저널

16주간 복합 운동 프로그램 빈도가 중년여성의 에스트로겐과 심혈관계질환(CAD)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Frequency of 16-Week Complex Exercise Program on Estroge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of the Middle-aged Women

  • 32

[서론] 본 연구는 복합운동 프로그램 빈도가 중년 여성들의 에스트로겐과 심혈관계질환(CAD)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대상자는 40-60세이며, Y시에 거주하는 중년여성 14명을 대상으로 7명씩 2그룹으로 구성하여 그룹Ⅰ은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16주간 주1회 60분씩, 다른 그룹Ⅱ은 16주간 주 2회 60분씩 실시하였다. 운동 전&#8228;후 에스트로겐, 심혈관질환인자를 중심으로 혈액성분과 체력요소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그룹Ⅱ에서 에스트로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16주간 주 1회 빈도에서 혈액성분과 체력요소의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주 2회 빈도에서는 에스트로겐의 증가와 중성지방의 감소 등 혈액성분의 효과적인 증가 또는 감소를 보였고, 체력요소에서는 부분적인 기능 향상의 유의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결론] 따라서 주 2회 빈도의 복합운동은 체력요소의 유의한 변화와 에스트로겐의 상승으로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requency of complex exercise program on the estrogen and cardiovascular dis-ease (CAD) risk factors of middle-aged women.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fourteen 40~60 year-old women living in Y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even women for each group. Participants in group I conducted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for 60 minutes per week for 16 weeks, whereas participants in group II conducted for 60 minutes twice a week for the same period. The blood components and physical components of participant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estrogen and cardiovascular disease (CAD) risk factors. [RESULT] As a result, the estrogen level for group II participants showed the significant in-crease at the significance level 0.01. No significant changes of blood components and physical component were found for group I. For group II,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regarding the changes of estrogen and decrease of triglycerides. For the physical components, the partial improvement was found for the functional improvement. [CONCLUSION] As a conclusion, twice-a-week complex exercis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enopausal symptoms due to the changes of physical components and increase of estrogen level.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