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서론] 실제 축구경기의 비디오 분석을 통하여 경기장 표면에 따른 중학교와 대학교 선수의 미끄럼 및 태클 양상, 포지션, 미끄럼 상황, 미끄럼 패턴별로 분석하여 인조잔디와 천연잔디가 축구선수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및 상해 예방에 근거자료로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축구 경기 중계방송 영상자료 및 직접 촬영한 영상으로 인조잔디에서 중학교 10경기와 대학교 10경기, 천연잔디에서 중학교 10경기와 대학교 10경기를 선별하여 총 40경기를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2006년 독일월드컵 당시 선수들의 미끄럼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했던 자료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Katharina Althoff et al(2009). [결과]전체 789회의 미끄럼 횟수 중 인조잔디에서는 357회(45.2%), 천연잔디에서는 432회(54.8%)의 미끄럼 횟수를 보였다. 중학생과 대학생 선수로 구분했을 때에 미끄럼 횟수는 총 789회 중 382회(48.4%), 대학생 선수는 407회(51.6%)로 나타나 전체 미끄럼 횟수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태클횟수는 전체 529회 중 인조잔디에서 246회(46.5%), 천연잔디에서는 283회(53.5%)로 나타났다. 축구경기장에 따른 포지션 별 미끄럼 양상, 기술 별 미끄럼 빈도, 동작별 미끄럼 패턴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인조잔디와 천연잔디에서의 미끄럼 빈도와 태클 빈도에 대해서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미끄럼과 태클 횟수는 천연잔디에서 약간 더 많은 빈도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연구로 인조잔디에서의 효과를 일반화 하기는 어려우며, 실제적으로 선수의 신체에 미치는 힘의 작용으로 인한 근신경계 반응을 비교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liding and tackle aspect, position, sliding con-dition, sliding pattern on artificial turf and natural gras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performance enhancement in athletics, and injury prevention. [METHOD] Total 40games of video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and 10 middle school play-ers’game and 10 college players game on artificial turf and natural grass respectively. We used the modified analyze criteria that used to video analysis of slip events in men s world cup 2006 by Alrhoff et al(2009). [RESULT] They showed 357 num-ber of sliding on artificial turf(6.7 per hour) and 432 number of sliding on natural grass(8.1 per hour) in total sliding number of 78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middle school players(16.4 per hour) and college players in sliding(13.6 per hour). Also, they showed 246 number of tackles on artificial turf(4.6 per hour) and 283 number of tackles on natural grass(5.3 per hour) in total sliding number of 52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liding and tackle aspect, position, sliding condition, sliding pattern between artificial turf and natural grass.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sliding and tackling between the artificial turf and natural grass. But, the number of sliding and tackling repre-sented more higher on the natural gr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som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effect of artifi-cial turf.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of neuromuscular responses by forces acting on the player s body actually on the artificial turf.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운동학의 역사적 의미
- 교정운동이 내반슬 하지 변형자의 고관절각, Q각, 무릎 사이 간격에 미치는 영향
- 스포츠마사지가 엘리트 운동선수의 어깨 근육상태 개선에 미치는 영향
- 정신적 강인함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 여성 고령자의 운동 후 심폐기능 및 신체구성 변화와 인플루엔자 백신투여 후 면역반응의 관련성
- 인조잔디와 천연잔디 축구경기장에 따른 미끄럼 및 태클의 양상 분석
- 포환던지기 오브라이언식 투법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 체육과 운동교육의 관계
- 16주간 복합 운동 프로그램 빈도가 중년여성의 에스트로겐과 심혈관계질환(CAD)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 기공체조를 활용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농촌노인의 신체조성 및 체력변화에 미치는 영향
- 남녀 대학생의 무산소성 운동능력 간 상관성
- 웨이트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대학생의 기초체력 및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12주간의 필라테스 매트운동과 탄력밴드운동이 여성노인의 혈중지질과 신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