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75.jpg
KCI등재 학술저널

생체역학적 분석을 통해서 본 빈야사 요가 수련이 우디아나 반다 체득에 미치는 효과

Verification of Effects by the Biomechanical Analysis on Getting Uddiyana Bandha through Practicing the Vinyasa Yoga

  • 8

[서론] 8주간의 하프 빈야사(Half vinyasa)요가 수련을 통한 우디아나반다 습득이 신체 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련 전·후의 신경근골격계의 생체역학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요가 수련 경험이 없는 여학생 13명을 대상으로 3차원 동작 분석 시스템과 지면반력기, 그리고 EMG센서를 이용하여 하프빈야사 동작을 3회 반복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빈야사 요가 수련후 몸통각(상대각, 절대각), 견관절각과 고관절각은 땅을 보는 강아지 자세, 무릅굽힌 자세와 점프최고시점 자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인 반면 근활성도는 단지 무릅굽힌 자세의 복직근과 상완삼두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그리고 변이계수는 감소하였다. [결론] 본 빈야사 요가 수련 후 동작 범위가 크게 이루어지고 작은 근발현으로 점프최고자세를 수행하였으며 점프가 일관되게 수행되었다. 이는 생체역학적 관점에서 8주간의 요가프로토콜은 우디아나반다 체득으로 복부조절력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training effect and investigate bio-mechanics factors of Vinyasa yoga after eight weeks training. [METHOD] Thirteen college women who have never done yoga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collect data, two AMTI force platform, Delsys EMG and 10 Vicon cameras were used and these devices were synchronized.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analysis. [RESULT] After yoga training, most of joint angles were larger, but muscle activities of only rectus abdominis and triceps brachii at bending knee event were smaller. Coefficient of variation of vertical reaction force was smaller.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after training, large motions and consistent vertical reaction force were performed and the jumping vertex was done with small muscle activities. In conclusion, learning of Uddiyana Bandha through practicing Vinyasa Yoga was effective.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