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79.jpg
KCI등재 학술저널

여성의 체중과 구두 힐 높이의 변화가 보행동작 시 동적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Change of Shoe s Heel Heights & Body Weights for Dynamic Balance during Gait Motions in Women

  • 2

[서론]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들의 체중과 구두 힐 높이변화가 보행 시 동적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20대 여성 15명으로 젊고 건강한 여성들이었으며, 체중 별 3 그룹과(저체중 5명: BMI 18.26±0.15kg/m2, 정상체중 5명: 20.64±0.88kg/m2, 비만: 5명: 29.46±4.72kg/m2) 3가지 구두 힐 높이(0cm, 6cm, 9cm)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보행 분석은 3차원 영상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변인은 시간과 신체중심의 전후이동변화, 동체의 전후 및 좌우경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반복이원변량분석(체중 3 × 힐 높이 3)과 유의한 차이발견 시 사후검정(post hoc test: Duncan)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체중증가에 따라 보행 시간이 짧게 나타났고(p<.05), 신체중심의 전방이동거리변화는 구두 힐 높이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p<.05). 동체의 전후경각은 체중과 힐 높이 증가에 따라 상대적인 전경각 자세로 보행하였고 (p<.05), 좌우경각은 힐 높이와 체중증가에 따라 측면기울기가 더 커졌으며(p<.05), 보행 시 체중의 증가가 구두 힐 높이의 증가보다 좌우체간기울기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체중과 구두 힐 높이가 증가할수록 보행 시 동적안정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TRODUCTION]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change of shoe s heel heights & body weights for dynamic balance on during gait motions in women. [METHOD] We selected subjects of n=15 young and healthy women in 20 s age women and divided into 3 group(lean n=5: BMI 18.26±0.15kg/m2, Normal n= 5: BMI: 20.64±0.88kg/m2, Obese n=5: 29.46±4.72kg/m2) and walked with 3 types of shoe s high- heeled(0cm, 6cm, 9cm). Analysis of the gait was conducted by the image analysis method of 3D DLT(direct Linear Transformation)technique. Variables analyzed were consisted of the time, displacement(Y axis), FR angle & LR angle during gait. Two-Way(body weight 3 × shoe s heel heights 3) repeated measure analyses of variance(ANOVA) & post hoc test(Duncan) were performed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RESULT] Time elapsed was shortened according to the body weight increase(p<.05), the COM displacement in Y-axis showed the shorter movement according to increase of shoe s heel heights(p<.05). FR angel in trunk showed the relative forward leaning motions according to increase of shoe s heel heights & body weights(p<.05), LR angle in trunk showed the relative ipsilateral & contralateral trunk leaning according to increase of shoe s heel heights & body weights(p<.05). The effect of LR angle according to increase of body weights showed greater than that of shoe s heel heights during gait(p<.05). [CONCLUSION] Considering the above, the effect on the dynamic balance wa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of shoe s heel heights & body weights during gait.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