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중과 지상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아의 운동기능 및 기능적 독립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mbined Water and Land Exercise Programs on Exercise Function and Functional Independency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이용희(Lee, Yong-Hee) 이주호(Lee Joo-Ho) 이형국(Lee, Hyung-Kook)
- 대한운동학회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 제16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4.01
- 88 - 96 (9 pages)
[서론] 본 연구는 수중과 지상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 및 기능적 독립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직성 뇌성마비 중 양마비 아동 20명이었으며, 수중과 지상복합 집단 10명(5.1±0.87yr, 93.50±3.56cm, 13.55±1.49kg)과 지상운동 집단 10명(5.5±1.17yr, 95.10±2.92cm, 14.90±1.46kg)으로 구분하였다. 운동기능의 측정은 대근육 운동기능 평가(GMFM; gross motor function measure)를 실시하였으며, 기능적 독립성은 장애아동의 기능적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인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을 사용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두 집단 모두 24주간 주 4회 회당 약 30분간 1대 1 형태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지상에서의 운동만 실시한 집단은 주 4회 지상운동만 실시하였고, 수중과 지상 복합운동 집단은 주 4회 중 2회는 수중운동, 2회는 지상운동을 실시하였다. 처치에 따른 두 집단 간 비교를 위해 사전검사를 기준으로 12주 후, 24주 후의 운동기능 및 기능적 독립성의 변화율(%)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앉기 영역, 기기와 무릎서기 영역 그리고 GMFM 총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05), 기능적 독립성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처방에 있어 수중운동과 지상운동을 복합하는 것이 지상운동만 실시하는 것보다 대근육 운동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INTRODUCTION] A combined water and land exercise programs may be a beneficial form of therapy for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particularly for those with significant movement limitation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combined water and land exercise programs on exercise function and functional independency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ETHOD] The groups of this study were the water and land combined exercise group(n = 10, 5.1±.87 years, 93.50±3.56 cm, 13.55±1.49 kg) and the land exercise group(n = 10, 5.5±1.17yr, 95.10±2.92 cm, 14.90±1.46 kg). We measured sitting, crawling & kneeling, and total points as indices of exercise function. Functional independency was assessed using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The water and land combined exercise group performed a water and land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twenty four weeks and the land exercise group only performed a land exercise therapy program for twenty four weeks. [RESULTS] The water and land combined exercise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greater(p< .05) gains in exercise function than the land exercis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water and land combined exercise and land exercise group in functional independency.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bined water and land exercise may improves exercise function than land exercis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Further studies utilizing other population and more subjects may confirm these results.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