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포선택속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Shop Choice Properties on Brand Attitudes: Focus on Six Major Coffee Shop Brands
- 한국유통과학회
- 유통과학연구(JDS)
- 제10권 제3호
-
2012.0351 - 61 (11 pages)
- 12

본 연구는 커피 시장에 대한 시장 규모가 커지고 점차 확대되고 있는 대형 브랜드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점포선택 속성 (가격, 종업원서비스, 점포의 입지, 점포 분위기)을 4가지로 규정하여, 그 선택속성들과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특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를 알아보자 하였으며, 또한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났지만 점포선택속성 중 점포의 분위기와 점포입지가 점포선택 속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이 충성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어떠한 속성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아울러 소비자의 욕구에 부합되는 선택 속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유통학문의 연구 방법론은 크게 2가지로 규범적 연구방법론 실증적 연구방법론 (경험적 분석기법, 통계적 분석기법) 이 있는데, 이중에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방법론중에서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응답자의 분포가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 이용된 2차 자료를 보면 서울지역의 응답자 수는 경기도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고 경기도 지역의 응답자 수 또한 6대 광역시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따라서 지역 표본이 해당 지역의 모집단을 대표하는데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응답자의 비율을 측정척도로 사용한점이다. 본 연구에서 점포선택속성에 대한 지각정도와 브랜드 선호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응답자의 비율을 척도로 사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점포선택속성과 브랜드 선호도 간의 관계, 집단 간 차이를 비교적 정확하게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커피전문점들이 점차 지방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6대 광역시 뿐만 아니라, 지방 소도시의 소비자들까지 포함하여 설문조사를 실행하여 1차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특히 설문조사에서 관련된 변수들을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되 점포선택속성에 대한 지각정도, 브랜드 선호도 외에도 재 구매의도까지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 등을 통해 더욱 정교한 실증분석을 실행하여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에 대한 보다 세밀한 분석결과를 도출해야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how the choice of a coffee shop is related to a customer’s loyalty and which characteristics of a shop influence this choice. It considers large-sized coffee shops brands whose market scale has gradually grown. The users’ choice of shop is determined by price, employee service, shop location, and shop atmosphere.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se four properties on the brand attitudes of coffee shops. The effects were found to vary depending on users’ characteristics. The properties with the largest influence were shop atmosphere and shop lo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roperties that could help coffee shops get loyal customers, and the choice properties that could satisfy consumers’ desires. The study examined consumers’ perceptions of shop properties at selection of coffee shop and the difference between perceptual difference and coffee brand in order to investigate customers’ desires and needs and to suggest ways that could supply products and service. The research methodology consisted of two parts: normative and empirical research, which includes empirical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udy,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mpirical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study theoretically confirmed the shop choice propertie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performed an empirical analysis including cross tabulation based on secondary material.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ffee shop choice properties varied by gender. Price advantage influenced the choice of both men and women; men preferred nearer coffee shops where they could buy coffee easily and more conveniently than women did. The atmosphere of the coffee shop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both men and women, and shop atmosphere was thought to be the most important for age analysis. In the past, customers selected coffee shops solely to drink coffee. Now, they select the coffee shop according to its interi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