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488.jpg
학술저널

공개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개발 활성화

온라인 시장 중개자 관점

  • 2

정보기술과 정보시스템의 발전은 기업 운영과 경쟁방식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정보시스템의 핵심은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이다. 소프트웨어 플랫폼 관련해서 리눅스와 같은 공개 소프트웨어는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의 서버에서 부터 개인의 PC, 휴대폰, 가전제품에까지 사용범위가 넓어지면서 기업의 정보기술 기반구조에도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제 급변하는 비즈니스 및 정보기술 환경 속에서 보다 경쟁력을 갖추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서는 공개소프트웨어의 활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공개 소프트웨어는 대기업 또는 공개 소프트웨어 전문인력을 확보한 몇몇 기업에서만 활용되는 것이 현실이다. 중소기업 또는 중소규모의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들이 공개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에는 공개소프트웨어 전문인력 미확보와 공개 소프트웨어 유통구조 미확립 등 이유로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공개소프트웨어 개념과 사유소프트웨어와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개 소프트웨어의 대표적 존재인 리눅스 배포판의 생성 과정과 함께 리눅스의 성공에 공개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사용자와의 중개자 역할을 수행한 리눅스 배포판 업체들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자신문 인터넷 키워드 분석(1992년~ 2010년)과 sourceforge.net(공개 소프트웨어의 대표적 개발 커뮤니티)에 공개된 공개 소프트웨어 분석을 통해 공개소프트웨어 발전과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많은 기업들이 자사에 유용한 공개소프트웨어를 쉽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B2B와 B2C로 구분된 시장구조에 맞게 접근해야 하고, 소스코드 및 소프트웨어의 자유로운 사용을 위해서는 공개소프트웨어 온라인 중개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중개자는 sourceforge.net에 게재된 공개소프트웨어 이해, 중개자가 공급할 정보기술과 서비스 이해, 그리고 기술적 차별화 역량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온라인 중개자가 있어야 공개소프트웨어 유통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개소프트웨어 온라인 중개자의 비즈니스 모델과 새로운 공개소프트웨어 유통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제 공개소프트웨어는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소프트웨어 개념이 아니고 사유소프트웨어와의 상호 적대적 관계가 아닌 상호 보완적 관계로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공개소프트웨어 온라인 중개자는 소프트웨어 자체를 판매하는 개념에서

국문초록

I. 들어가며

II. 공개 소프트웨어의 이해

III. 소프트웨어 유통구조의 진화

IV. 공개소프트웨어 유통구조에서 중개자의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