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83.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아마추어 축구심판의 근골격계 통증 - 대표 조사

Musculoskeletal Pain in Korean Amateur Football Referees - A Representative Survey

  • 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마추어 축구심판의 직무와 관련된 근골격계 통증 발생율 및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방법]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된 아마추어 심판 중 294명이 본 연구의 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1급 심판군 90명, 2급 심판군 47명, 그리고 3급 심판군 157명으로 구분하였다. 자료처리는 윈도우용 PASW ver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든 항목에 대해 기술통계 또는 빈도분석 하였다. 집단 간 비교를 위해 특정 항목에 한해서는 일원분산분석과 교차분석을 시도하였으며, 근골격계 통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확인하고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통증의 발생빈도와 강도, 그리고 일상생활의 지장 여부는 1급 심판군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통계치를 기록하였으며, 발생부위는 무릎관절·발목관절·슬괵근·종아리근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심판은 선수와 다르게 신체 접촉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움직임을 장기간 반복하므로 과사용 증후군의 발생 위험도가 높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경력이 많은 1급 심판군의 통증 발생율 및 통증과 관계된 항목의 심각성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연령 보다는 심판급수가 통증발생의 유의한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심판의 손상예방을 위한 특이적 운동 프로그램의 제작 및 보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pain related to amateur football referee s job. [METHOD] 294 in amateur referees registered in KF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were classified with level 1 referee group(90), level 2 referee group(47) and level 3 referee group(157). Data processing did descriptive statistics or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18.0 ver. program for windows for all items. For comparison between groups, as long as specific item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cross analysis were tried, to confirm variables that affect occurrence of musculoskeletal pa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RESULT] For the incidence, intensity and difficulty of daily life of pain, Significantly, level 1 referee group record statistics higher than in the other groups, occurred part tend to concentrate on knee joint․ankle joint․hamstring․calf muscle. [CONCLUSION] Because, unlike the players that take place physical contact, the referees repeat specific movement to long-term, they have high occurrence risk.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tate that the seriousness of the item related to incidence of pain and pain of experienced level 1 referee group be higher significantly than other groups. Fo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is confirmed referee s level rather than age is significant factor to cause pain. Therefore,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special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to prevent referee s pain.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