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83.jpg
KCI등재 학술저널

10주간의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0 Weeks Combined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and Inflammatory Factors of Obese Women

  • 2

[목적] 본 연구는 10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중년 여성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염증인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현재 비만이거나 비만 경계에 있는 중년여성 40명 중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라 대사증후군 집단(23명)과 정상 집단(17명)으로 구성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고정식 바이크를 이용한 유산소운동과 윗몸일으키기, 다리들어올리기, 팔굽혀펴기, 앉았다 일어나기, 발뒤꿈치 들기 등을 적용한 저항운동을 본 운동으로 하여 10주간, 주 3회, 70분(준비운동; 5분, 본운동; 60분, 정리운동;5분) 실시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결과, 대사증후군 집단과 정상집단 간 모든 항목(Glucose, W/H, 혈압, TG, HDL-C)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시기 간 차이에서는 수축기혈압과 HDL-C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염증인자에서는 WBC, GGT, UA 항목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염증인자의 상관과 회귀 결과에서는 대사증후군 집단에서 Glucose와 WBC, TG와 WBC에서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각12%와 20.4%의 영향력을 나타냈다. [결론] 10주간의 복합운동 실시로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중 수축기 혈압과 HDL-C에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나 염증인자에서는 의미 있는 결과를 볼 수 없었다. 하지만, WBC, GGT, UA 모두 감소 경향을 나타내 장기간 운동의 실시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obese middle-aged women s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and inflammatory factors[WBC(White Blood Cell), GGT(γ-glutamyl Transferase), UA(Uric Acid)] for 10 weeks. [METHOD]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a metabolic syndrome group(23 persons) and a normal group(17 persons) according to the statu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40 middle-aged women who were currently obese or on the boundary of obesity.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aerobic exercise using stationary bikes and resistance exercise including sit-ups, leg lifting, push-ups, sitting down and up, lifting the heel, etc for 10 weeks, 3 times a week, 70 minutes (warm-up; 5 minutes, main exercise; 60 minutes, cool-down; 5 minutes).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hown in all items (Glucose, W/H, blood pressure, TG, HDL-C). And with regard to difference between periods, significant difference i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DL-C was shown. In case of inflammatory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hown in WBC, GGT, and UA.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of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and inflammatory factors showed that Glucose and TG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WBC in metabolic syndrome group, and had influence of 12% and 20.4% respectively. [CONCLUSION] Owing to the combined exercise performed for 10 weeks, positive results were shown i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DL-C among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but it was impossible to find meaningful results in inflammatory factors. However, all of WBC, GGT, and UA showed a decreasing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