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83.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과 일반 학생간의 태아기 성호르몬 노출의 추정 징후 비교

Comparison of Putative Marker of Prenatal Androgen Exposure between Athletic Club and Non-Athletic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 운동부 학생과 일반 학생간의 태아기 성호르몬 노출의 추정 지표인 ‘손가락 길이 비율(2D:4D)’을 비교하여, 학생선수 선발 시 학생의 선천적인 체력적 소질을 파악하는 보조수단으로써 2D:4D의 효용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서울시 D 교육지원청 B초등학교 3-4학년 남학생 60명과 같은 교육지원청의 3-4학년 야구부와 축구부 남학생 전체(5개교, 32명) 총 92명을 표집하였다. 학부모 및 학생 본인의 동의서를 모두 작성하여 제출한 연구 참여자들에 한하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둘째 손가락이나 넷째손가락에 손상을 입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손가락 길이 측정은 측정 시간은 많이 걸리나 가장 정확한 방법(Kemper & Schwerdtfeger, 2009)으로 알려져 있는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한 간접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연구 참여자의 손바닥을 스캐닝하여 양손의 이미지를 획득한 후, 획득한 이미지를 Adobe Photoshop 프로그램의 measure tool을 이용하여 0.01cm 단위까지 측정하였으며, 양손 평균값을 구하였다. 운동부 참여 여부에 따른 2D:4D값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초등학교 3-4학년 운동부 학생의 2D:4D 평균값은 일반 학생의 2D:4D 평균값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1). 야구부 학생과 일반 학생, 축구부 학생과 일반 학생간의 비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학교운동부에 대한 진로 선택을 앞둔 학생의 2D:4D값 측정은 학생의 선천적인 체력적 소질을 파악하는 참고자료가 될 수 있으며, 야구부보다는 축구부에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보일 것이라 예상된다. 그러나 2D:4D는 학생의 선천적인 체력적 소질을 파악하는 보조 자료로만 활용해야 할 것이며, 학생의 후천적인 노력을 배제하고 2D:4D값을 맹신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tility of 2D:4D(second digit to fourth digit ratio) as the subsidiary measure for expecting physical fitness when it comes to the recruiting student athlete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visited 5 schools to measure 2D:4D of students. Sixty non-athletic students and 32 athletic club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in 3rd and 4th grade from B, K, I, N and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D district. Software-based measurement was used to conduct this study which was strongly suggested to the highest precision estimates by Kemper & Schwerdtfeger(2009). Therefore electronic images of hands were used for analysis. Measurement were made with Adobe Photoshop with pixel accuracy. The t test was used to compare of putative marker of prenatal androgen exposure between athletic club and non-athletic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2D:4D of athletic club students and 2D:4D of non-athletic students. First, 2D:4D of athletic club students showed the lower value than 2D:4D of non-athletic students(p<.01). Second, 2D:4D of baseball club students showed the lower value than 2D:4D of non-athletic students(p<.05). Third, 2D:4D of soccer club students showed the lower value than 2D:4D of non-athletic students(p<.0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2D:4D can be considered when the schools recruit athletes. However, physical fitness is not decided by only innate factors. Thus this paper suggest that Blind faith in 2D:4D should be avoided.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