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체활동 유형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음주행동과 음주거절효능감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Type and Gender on Binge Drinking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 오화정(Oh, Hwajung) 김영호(Kim, Young-Ho)
- 대한운동학회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 제16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4.07
- 69 - 78 (10 pages)
[목적] 이 연구는 신체활동 유형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폭음 행동과 음주거절효능감의 차이를 밝히는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신입생 354명(191남학생)을 대상으로 신체활동참여, 음주거절효능감, 폭음 행동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신체활동 유형을 비 참여, 팀 스포츠, 개인 스포츠로 구분하고, 성별과 신체활동 유형에 따른 폭음 행동과 음주거절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남학생이 폭음하는 날이 가장 많고 정서적 해소 상황에서의 음주거절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팀 스포츠에 참여하는 남학생은 개인 스포츠에 참여하는 학생보다 폭음하는 날이 많았다. 그러나 폭음행동과 음주거절효능감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대학생들은 참여하는 학생들에 비해서 폭음 행동에 많이 노출되며, 특히 정서적 해소와 관련된 음주 상황에서 낮은 음주거절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신체활동 유형이 폭음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binge drinking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differ by physical activity type(team, individual sport and non physical activity) and gender. [METHOD] For this study, a total of 354 university students(191male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assess physical activity type, binge drinking,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DRSE).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0.0. [RESULT] Two-way ANOVA reveal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physical activity type and gender on binge drinking and emotional relief DRSE and main effect of physical activity typ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had the highest binge drinking and the least emotional relief DRSE. Male students participating in team sport reported more binge drinking than those in individual sport, but female binge drinking was consistent across physical activity typ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articipants in physical activity appear to do less binge drinking and more DRSE in emotional relief situati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physical activity type and gender differences on binge drinking and DRSE. The findings add to our understanding of how sport impacts on drink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to avoid drinking.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