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보호대는 전십자인대 손상 후에 무릎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무릎보호대와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서 무릎보호대의 사용은 전십자인대를 보호하고 운동수행력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무릎보호대의 효험이나 이득은 아직도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어떤 연구들은 무릎보호대가 운동수행력의 향상, 넙다리네갈래근의 활동 감소, 전십자인대에 가해지는 과도한 부하 감소 등과 같은 이득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반면에 또 다른 연구들에서 무릎보호대는 전십자인대 결핍(ACL-deficient) 환자 또는 전십자인대 수술(ACL-reconstructed) 환자들에게 효과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미국 정형외과 의사협회는 재활 및 기능성 무릎보호대는 치료 프로그램에 효과적이라고 발표하였다. 미국 소아과 협회는 기능성 무릎 보호대는 예전에 상해를 입은 무릎을 더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면서, 재활 치료 및 수술 후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라고 권고하였다.
Knee braces have been designed to improve functional stability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ACL). However, the efficacy and benefits of knee bracing are still controversial. Some studies have suggested that braces might be beneficial for ACL injured or reconstructed knees by improving their functional performance, preventing quadriceps inhibition, reducing anterior-posterior laxity, allowing protected motion and preventing excessive loading on an injured ACL or healing graft. However, in other studies n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function of the knees with bracing were found either for ACL-deficient( ACLD) or ACL-reconstructed(ACLR) patients.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rthopaedic Surgeons believes that rehabilitative and functional knee braces can be effective in many treatment programs.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ays that functional braces may help prevent further injury to a previously injured knee. Their use is accepted clinically on the basis of subjective performance. If used, knee braces should complement rehabilitative therapy and required surgery.
서론
본론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