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58.jpg
KCI등재 학술저널

360° 척추 고정술 후 저항성트레이닝 적용에 따른 염증변인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inflammation variables and gait ability with 360° spinal fusion surgery

  • 3

본 연구의 목적은 360° 척추 고정술 후 회복 동안의 저항성 트레이닝 적용이 염증변인 및 보행능력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피험자는 J병원에서 요추 불안정증 진단을 받아 360° 척추 고정술을 받은 환자 20명[운동그룹(10명):남성 5명, 여성 5명, 비운동그룹(10명):남성 5명, 여성 5명]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운동그룹은 혼자 보행이 가능한 수술 후 3일째 되는 날부터 1일 2회 저항성 트레이닝에 참여하였다. 이에 따른 두 그룹간의 염증변인 및 보행능력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염증변인 중 CRP와 보행능력 중 최대보속은 저항성 트레이닝 적용 유&#8228;무에 따른 운동그룹이 비운동그룹보다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5), 치료과정에서의 저항성 트레이닝이 수술 후 회복과정에서 인체의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ESR, 보통보속, 최대보속시 보폭, 보통보속시 보폭에 있어서는 운동그룹과 비운동그룹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how resistance tr aining altered inflammation variables and gait ability levels in lumbar patients during recovery stage after 360° spinal f usion surgery. The subjects were chosen from patients diag nosed with lumbar instability at J hospital. The total numbe r of participants was 20 (10 experimental group: 5 men & 5 women:10 control group:5 men & 5 women). The patients i n experimental group were able to walk on their own and participated in resistance training twice a day three days aft er the surgery and patients in control group are did not par ticipate in any training. Analyse of inflammation variables a nd gait ability alterations are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 e as follows: Levels of CRP & maximal walking speed have been analyzed to study it.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peri 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CRP & maxi mal walking speed than the control (p<0.05). On the other hand, no changes were noticed in ESR, normal walking spe ed, stride length during both normal and maximal in both groups (p>0.05).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