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등속성 슬관절 굴근력 검사를 통하여 공여부의 근력 회복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가 슬괵건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60명을 대상으로 술 후 등속성 슬관절 굴곡력 근력 검사를 시행하였다. BIODEX System III(USA)를 이용하여 앉은 자세(0°-90°)와 엎드린 자세(60°-120°)에서의 등속성 최대 우력 (Isokinetic Peak Torque)을 측정하여 건측에 대한 환측의 차이를 결과치로 설정하였다. 등속성 슬관절 굴곡력 검사에서 최대우력을 건측과 비교하였을 때 15% 미만의 근력 차이를 보인 환자는 각속도 60°/sec, 240°/sec 및 과 굴곡 시에 각각 48명(81.6%), 54명(90%), 5명(8.3%)이었다. 0°-90°에서의 슬관절의 굴근력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정상 범위 내로 회복되었으나, 과 굴곡 시는 대부분의 환자의 손상된 다리에서 굴곡력의 약화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covery of hamstring force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 grafts. Sixty patients who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 autograft were evaluated after a minimum period of 2 years. To analyze the functional deficit after graft harvest, the peak isokinetic torque for knee flexion were measured in sitting position and prone position using the BIODEX System III(USA). Comparing the isokinetic peak torque with unaffected knee, the number (percentage) of patients that showed less than 15% difference in strength at 60°/sec and 240°/sec in sitting position, and hyperflexion in prone position, were 48(81.6%), 54(90%), and 5(8.3%), respectively. Recovery of flexor strength of the knee after reconstruction of ACL with hamstring autograft may be expected for 0°-90°. However, the loss of knee flexor strength were found in injury knee of patients at high knee flexion angles.
서론
연구 방법
결과
논의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