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60.jpg
KCI등재 학술저널

운동훈련에 따른 심폐체력의 상승이 백혈구수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WBC count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following exercise training

  • 7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들을 대상으로 염증반응의 지표로서 백혈구수와 심폐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12주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여 염증반응지표인 백혈구 수와 심폐체력 및 대사증후군 요인의 변화와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116명의 중년여성(56.09±4.71yrs)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심폐체력은 체질량지수(r=-.503, p<.001), 허리둘레(r=-.592, p<.001), 수축기혈압(r=-.307, p<.05), 이완기혈압(r=-.506, p<.001),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r=-.429, p<.001), 중성지방(r=-.336, p<.01), 공복시혈당(r=-.369, p<.01), 백혈구 수(r=-.278, p<.05)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심폐체력이 높을수록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혈구수의 증가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중성지방, 공복 시 혈당 및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수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12주간의 유산소 운동은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규칙적인 운동과 심폐체력의 상승은 염증반응의 지표인 백혈구수를 감소시키고, 대사증후군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inflammation marker(WBC)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and the effects of WBC,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fter 12 weeks exercise training. The subjects were 116 postmenopausal women(56.09±4.71y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ardiorepitatory fitn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I(r=-.503, p<.001), WC(r=-.592, p<.001), systolic blood pressure(r=-.307, p<.05), diastolic blood press(r=-.506, p<.001), HDL-C(r=-.429, p<.001, TG(r=-.336, p<.01), fasting glucose levels(r=-.369, p<.01) and WBC(r=-.278, p<.05). The high levels of cardiorespratory fitness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Additionally, the risk for clustere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cluding BMI, WC, SBP, DBP, TG, FBG, and Mets was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WBC counts(p<.01). Furthermore, following 12weeks aerobic exercise,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significantly decreased. Therefore, this results suggested that regular exercise and up-regulated cardiorespiratory fitness decreased the inflammatory index(WBC) and metabolic syndrome.

서론

연구 방법

결과

논의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