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비만 여대생들의 운동빈도를 달리한 복합운동이 신체조성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해 S시에 소재한 27명의 비만 여대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그룹은 주5일 그룹, 주 3회 그룹, 대조 그룹 각각 9명을 선정하여 12주간 실시하였다. 측정종목은 신체조성으로는 체지방율(%fat), 제지방(LBM), 복부비만율(WHR), 신체질량지수(BMI), 심폐기능으로는 최대산소 섭취량(V˙ O2max), 최대심박수(HRmax), 호흡교환율(RQ)을 측정하였다. 체지방율은(%fat)은 그룹간, 측정시기,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고, 제지방(LBM)과 신체질량지수(BMI)는 그룹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최대산소 섭취량(V˙ O2max)은 측정시기와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호흡교환율(RER)은 그룹간, 측정시기,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운동빈도 차이와 복합 운동은 신체구성과 심폐기능에는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동빈도의 영향보다는 규칙적인 장기간의 운동 프로그램 수행의 효과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frequency different in body composition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on obese female collegiate. 27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divided into three groups(exercise frequency 5day/week group : 9, 3day/week group : 9, control group: 9) in this study. %fat, lean body mass, WHR, and BMI. as body composition variables and V˙ O2max, HRmax, and RER were measured as Cardiorespiratory fitness variable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was as follows: first, body percent fat(%fat) was significant in between group, measurement periods and interaction. LBM and BMI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roup. Second, V˙ O2max was significant in measurement periods, interaction. RER was significant in between group, measurement periods and interaction.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exercise frequency and combined exercise were effective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change. However, keeping exercise for long periods seems more effective on positive change than exercise frequency.
서론
연구 방법
결과
논의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