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시민 대상으로 가족정책(아동돌봄정책, 가족친화제도,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 인지도와 관련되는 개인적 특성과 정책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만 25~74세 서울시민 1,102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빈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족친화제도의 인지도가 가장 높았고,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았다. 아동돌봄정책 중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족친화제도 중에서는 육아휴직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가장 높았다. 정책 인지도는 정책별로 차이가 있는데 공통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미혼자보다 기혼자의 인지도가 높았다. 또한, 미취학자녀나 초등자녀가 있는 응답자가 해당 연령과 관련된 정책 인지도가 높았다. 정책 인지도는 도입시기와는 상관성이 없었으며, 예산이 클수록, 서울시 정책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적용되는 중앙정부 정책인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족정책 인지도는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일부 정책은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책 홍보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awareness of family policies among Seoul citizens, as well as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The family policies under examination in this study consist of ten types of childrearing, five types for family-friendly workplaces, and five types for family service delivery. Data were first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of 1,102 adults aged 25-74, and then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logistic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 the proportion of adults who know about each type of family policy and the effect of both individual and policy-related factors on their awareness. The most well-known policies are those for family-friendly workplaces, with participants showing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for parental leave. However, the least awareness is for family service delivery, among which public childcare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re the best known. Awareness levels are related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the budget and scope of the policy. Awareness about some types of family policy is lown, suggesting that public advertisements are needed to raise awareness and for consequent use of family policies.
I. 연구의 필요성
II. 가족정책 영역과 특성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