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학습전략은 주어진 문제 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지는 학습동기의 발현방식이다. 개인학습전략은 표면학습전략과 심층학습전략으로 구분된다. 표면학습전략은 수단적 동기에 의해 발현되며, 주어진 과제의 정해진 답을 찾는 데에 초점을 둔다. 반면에 심층학습전략은 내재적인 학습동기에 의해 학습이 촉발되며, 근본적인 원리를 탐구하여 구체적인 사례와 경험에 연계하는 접근방식이다. 본 연구는 개인학습전략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이들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및 조직공정성(분배, 절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전략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하여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매커니즘과 상황적 맥락으로 조직공정성의 영향력을 통해 학습전략의 차별적 효과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응답 원천을 상사와 부하들로 구분하였으며, 연구변수는 6개월의 시간 차이(T-1, T-2)를 두고 측정하였다. 총 793개 설문지 쌍(pair)이 가설검증에 활용되었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학습전략과 심층학습전략은 적응수행에 정(+)의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표면학습 전략은 긍정심리자본에 부(-)의 영향력을 보였으며, 심층학습전략은 긍정심리자본에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표면학습전략과 심층학습전략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적응수행에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넷째, 표면학습전략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부(-)적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심층학습전략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정(+)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표면학습전략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부(-)적인 관계는 분배공정성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절차공정성에 의해 상쇄되었다. 또한, 심층학습전략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정(+)적인 관계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에 의해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조건부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차별적인 검증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학습전략은 적응수행과 같은 긍정적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두 유형의 학습전략은 환경의 속성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전략 연구의 이론적 확장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Individual learning strategies are ways which individuals generate learning motivation to deal with problems and obstacles they might face. There are two types of learning strategies: surface learning and deep learn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on adaptive performance and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rategies and adaptive performanc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employees and their bosses at two intervals six months apart. A total of 793 pair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both surface learning and deep learning strategies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adaptive performance. Second, surface learning strategies had a nega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le deep learning strategies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adaptive performance. Fourth,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learning and adaptive performance was positively significant. Contrary to expectatio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lso showed a positiv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learning and adaptive performance. Fifth, the results of the moderation effects showed that distributive justice mitig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le it 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ep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inally,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ypes of learning strategies and adaptive performanc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