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포트폴리오 플랫폼 기반 디지털리터러시 수업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Open Portfolio Platform based Digital Literacy Clas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1권 10호
-
2021.05417 - 435 (19 pages)
-
DOI : 10.22251/jlcci.2021.21.10.417
- 734

목적 본 연구는 오픈 포트폴리오 플랫폼 기반 수업 사례에서 나타난 학습자의 참여 및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하여 온라인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방법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S대학 유아교육과 심화과정에 재학 중인 연구 참여자 43명과 연구자 2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의 저널, 과제 수행 자료, 수업 평가지, 개별 피드백 및 심층면담자료, 연구자의 성찰일지 등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학년도 2학기 15주 과정 주 3시간으로 총 45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NVivo 10.0을 사용하여 중심 키워드 및 관련 문장의 유사한 내용을 유목화하고, 의미에 따라 범주로 나누어 개념화 하였다.결과 연구 결과, 오픈 포트폴리오 플랫폼을 구축을 위한 학습자의 참여과정은 1단계 ‘사이트 제작’ - 2단계 ‘페이지 만들기’, 3단계 ‘게시하기’, 그리고 4단계 ‘공유하기’ 과정으로 점차 ‘경쟁 구도’ 에서 ‘정보 나눔’ 관계의 온라인 상호작용 공간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오픈 포트폴리오 플랫폼을 활용에서 학습자들의 변화과정은 ‘살펴보다’ 과정을 통해 디지털 교육의 발견자로, ‘해 보다’ 과정을 통해 주도적 학습자로, ‘더 보다’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지식의 창출자로, 그리고 ‘함께보다’ 과정을 통해 커뮤니티 자발적 참여자로 점차 성장하였다.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비대면 수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look at learner s participation and changing process appeared in the open portfolio platform based class case, explore the interaction effect in the contact-free online class and present the utilization plan for raising the efficiency of online class. Methods The samples were 43 research participants and 2 researchers who were studying in the intensive cour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For initiating the research,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data such as research participant s journal, project performance data, class evaluation sheet, individual feedback, in-depth interview data and researcher s self-reflection diar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2 semesters and 15 weeks of 2020, and 3 hours a week, and 45 hours in total. The collected data classified the main keyword and its similar contents of related sentence with NVivo 10.0, and conceptualized it by dividing its categories according to its meaning. Results As a result of research, learner s participation process for constructing the open portfolio platform was the first step ‘site production’-the second step ‘page creation’, the third step ‘posting’ and the fourth step ‘sharing’, and constructed the online interactive space from ‘the competitive composition’ to ‘information sharing’ relation. And in using the open portfolio platform, learner s changing process was gradually growing as the discoverer of digital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observing’, as the self-directed learner through the process of ‘doing it’, as the creator of new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of ‘seeing more’, and as community s voluntary participant through the process of ‘seeing together’. Conclusions Such a result is thought to be provided as the basic data for raising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s contact-free clas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