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지원 대상자의 중도탈락 위험에 대한 연구
Predicting Risk of Dropout of Housing Support: Focusing on the Competing-risk Analysis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안전문화연구
- 제10호
- : KCI등재후보
- 2020.12
- 147 - 178 (32 pages)
본 연구는 갱생보호사업(한국법무보호공단) 중 주거지원사업 대상자의 중도탈락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2005년부터 2020년 9월까지 지원을 받은 대상자 3,128명이다. 분석 방법으로는 각 대상자의 지원기간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한 생존분석을 활용하였다. 또한 중도탈락을 각 원인에 따라 자율중도탈락과 강제중도탈락으로 구분하고 두 사건이 서로 경쟁관계에 있음을 고려하여 경쟁위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중도탈락 위험을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출소 전 지원여부, 연령, 교육수준 그리고 범죄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쟁위험 분석 결과 자율중도탈락의 경우 연령과 교육수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강제중도탈락의 경우 출소 전 지원여부, 개정시점, 연령, 전과횟수, 범죄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두 유형의 중도탈락을 비교하면 1) 본 연구에서 투입한 변수들은 자율중도탈락의 위험보다 강제중도탈락의 위험을 더 잘 예측하였으며, 2) 출소 전 지원과 개정시점 그리고 형사사법기관의 처분은 강제중도탈락 모형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결론 및 제언에서 분석결과를 통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factors that affect the risk of dropout within support period of the housing support project among the rehabilitation protection projects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The subjects of this analysis were 3,128 people who supported by the project from 2005 to September 2009. As for the analysis method, survival analysis was used to consider the difference in the support period of each subject. Also, the dropout was classified into autonomous dropout and forced dropout according to each cause, and the competing-risk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at the two events are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When the risk of total dropout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 before release, age, education level and ex-crime typ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sult of competing-risk analysis, only age and education level we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autonomous dropout.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forced dropout, the support before release, the time of revision, age, number of ex-crime and type of ex-cri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wo types of dropouts were compared. 1) The variables put in this study were better predicted the risk of forced dropout than the risk of autonomous dropout. 2) The support before release, the time of revision, and the previous disposition of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only in the forced dropout model. Finally, the interpretation of the above results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