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애니메이션 영화는 동시대의 사회적 관습과 여성상과 일치하는 경향을보였다. 특히 가부장적 사회에서 탈피하여 점차 여성 중심의 사회로 변화함에따라 영화 제작은 기존의 여성상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여성 개인의 삶에 초점이맞춰진 캐릭터로 제작되기 시작했다. 영화에 사회적, 문화적 의미들을 간접적으로 제시하기 위해서 치밀한 계획으로 연관성 있게 제작되었다. 영화 음악 역시음악으로서 단독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이미지와 상응하여 제작된다. 완성된 영화작품을 분석하는데 있어서도 이미지와 음악을 연관성을 갖고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1930년부터 2020년까지 시대별 공주 캐릭터의 이미지 특징과음악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미지와 음악의 특징들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것이목적이다. 분석 결과 이미지와 음악의 변화의 상관관계에서 크게 연관된 것은 머리 스타일과 목소리 발성과 톤이 연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도출된 결과의요소들로 여성 캐릭터의 이미지와 음악을 제작할 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Princess animated films are often consistent with contemporary social customs and female images. In particular, as the patriarchal society gradually changed to a female-centered society, princess films have moved away from the traditional image of women and began to produce films that focus on the personal lives of female characters. The film was produced with an elaborate plan, to indirectly present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to it. Film music does not exist alone as music, but is produced corresponding to images.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images and music with correlation when analyzing a complete film work.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incess im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by period from 1930 to 2020 and to draw a conclusion by deriving the correlation between images and music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image and music changes was largely related to hair style and voice vocalization and tone. The elements of the derived results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images and music of female characters.
1. 서론
2. 공주 캐릭터 이미지와 음악
3.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