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786.jpg
KCI등재 학술저널

월경하는 대중음악 경험과 다층적 정체성 실천

사할린 영구귀국자의 트로트와 민족적, 국민적, 초국가적 상상력

  • 61

본 논문은 사할린 출신 영구귀국자에 대한 인류학적 조사에서 드러난 냉전시기 월경하는 한국의 라디오 전파를 통해 대중음악 청취 경험이 형성한 정체성정치와 국경 밖에 대한 상상력의 의미를 분석한다. 사할린 한인 대부분은 일제강점기에 노동자와 그 가족으로 사할린에 이주하여 살기 시작했다. 1945년 일제의패망 이후, 이들은 무국적 외국인으로 분류되어 한반도로 돌아가지 못한 채 소비에트의 주민이 되었다. 냉전 시기 동안 한국과 소비에트 사이에는 어떠한 교류도이뤄지지 않았다.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으로 영구귀국을 선택한 1세대 사할린한인 동포 중 상당수는 월경하는 라디오 전파를 통해 한국의 대중음악을 들었던경험을 토로하고 있다. 냉전 시대에 한국의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일은 사할린동포 사이의 공공연한 비밀이었고, 이 행위를 통해 소비에트 국경 밖 다른 세계인상상의 고향-한국을 상상해 볼 수 있었다. 밤에만 희미하게 청취할 수 있던 한국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전해진 노래는 언제나 부분적이었다. 사할린 한인들은 파편화 된 가사와 가락을 조합하여 곡을 기록했고, 이를 함께 부르는 과정에서 집합적인 정동을 경험했다. 당시 이들이 즐겨들었던 한국의 음악은 트로트였고, 이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까지 사할린 한인사이에서 향유되던 음악과 닮아있었다. 냉전의 한복판에서 한국어 가사 노래를함께 부르며 형성된 민족정체성은 실체적 한국을 의미하기보다 상상의 것에 가까웠고, 따라서 소비에트 국민정체성과 상치되지 않았다.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에도 이들은 여전히 이 시절에 부르던 노래를 향유하고 있다. 이제 이 노래 실천은소비에트에서 보냈던 젊은 시절의 성취와 추억과 연결되어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identity politics and imagination outside the borders formed by the experience of listening to popular music through spillover radio propagation of South Korea during the Cold War, revealed in an anthropological research of Sakhalin-Korean permanent returnees. Most Sakhalin-Korean moved to Sakhalin as workers and their famili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e defeat of Japanese imperialism in 1945, they were classified as stateless foreigners and became Soviet residents without the chance returning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Cold War, no exchanges took place between Korea and the Soviet Union. Many of the first-generation Sakhalin-Koreans who have chosen to return to Korea permanently are talking about their experiences of listening to Korean popular music through spillover radio waves. Listening to Korean radio during the Cold War was an open secret among Sakhalin-Koreans, and this practice led to establishment of an imaginary home-Korea, as another world outside the Soviet border. Songs delivered on Korean radio wave, which could only be heard weakly at night, had always been partial. The Sakhalin-Koreans tried to combine of fragmented lyrics and melodies. And they experienced collective affection in the process of singing them together. The Korean music they enjoyed at that time was trot, which resembled the music enjoyed by Koreans in Sakhalin until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ethnic identity formed by singing Korean lyrics together in the middle of the Cold War was more of an imagination than actual Korea, thus it did not conflict with the Soviet national identity. Even after returning to Korea, they still enjoy the songs they sang during these days. Now the practice of these songs is linked to the achievements and memories of their prime of youth in the Soviets.

1. 들어가며

2. 월경하는 미디어와 정체성 정치

3. 월경하는 라디오와 ‘창가노트’

4. 나오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