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K-Pop 아티스트와 음악적 천재 담론

K-Pop Artist and Discourse on Musical Genie : Focused on the Case of ‘B.I’

  • 288
157786.jpg

2019년, K-Pop 아티스트 비아이(B.I)는 스스로 ‘천재’가 되고 싶다고 하면서환각제인 LSD(Lysergic acid diethylamide) 구매를 시도하였고, 그가 작성한 SNS 메시지가 기사를 통해 공개되면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바 있다. 이후, 수사과정을 통해 LSD 구매는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수사과정과는 별개로 연구자는 그가 LSD 구입을 시도하면서 ‘천재’를 언급하게 된것이 현재 대중음악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천재’를 수식할 때와는 다른 독특한사례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kate식의 본질적 사례연구 방법을중심으로 18세기 후반 독일에서 탄생한 음악적 ‘천재 미학’의 이론적 검토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천재’가 무엇인지 탐구하기 위해 ‘천재 미학’ 과 ‘음악적 천재’에 관한 문헌 연구를 진행한다. 둘째, 가수 비아이의 사례에 관계된 다각적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한다. 셋째, 비아이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는현시대에 ‘천재’ 미학의 유효성에 대한 여러 담론을 논의하고 변화된 ‘천재’의의미를 재조명한다. 본 연구는 해당 사례에 드러난 근본적인 배경을 탐구하고K-Pop과 ‘천재’의 연계성 및 ‘천재 미학’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In 2019, one of k-pop artists called B.I tried to buy LSD(Lysergic acid diethylamide) wanting to be ‘genius’, and his SNS message chatting about LSD has been shared to the public by a press report which caused a social issue. Later, it is revealed that purchase LSD has not been actually happened during the police investigation. Apart from the investigation, the researcher has perceived that he mentioned ‘genius’ to attain LSD was an unique case, compared to when ‘genius’ is referred generally. Therefore, the study will examine ‘aesthetics of genius’ theoretically, which has been started in 18th century from Germany, based on the intrinsic case study by Robert E. Skate. For the study method, first, the study will proceed literature review of ‘musical genie’ in order to study what ‘genius’ means. The second stage in research will be multilateral data collection about the case of ‘B.I’, and analysis of them. Third, the various discourses about the validity of ‘aesthetics of genius’ will be discussed from the case of ‘B.I’, and the developed meaning of ‘genius’ will be rekindl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fundamental background from the case, to reveal the relativity between k-pop and ‘genius’, and to propose the new insight into ‘aesthetics of genius.’

1. 서론

2. ‘음악적 천재’ 이론적 검토

3. K-Pop 아티스트와 ‘천재’ 갈망

4. 현시대의 ‘천재’와 그 유효성

5. 결론 및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