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세기 초에 존재했던 조용사(助用詞)를 중심으로 그와 관련된 품사들을 비교하였다. 조용사는 이완응(1929)과 박승빈(1931, 1935, 1937)에서 볼 수 있는데 동사나 형용사에 접속하는 방법과 하위 분류 체계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동사나 형용사의 원래 의미에 특별한 의미를 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시제와 경어법 체계를 보여주는 공통점이 있다. 한편 조용사보다 앞 시기에 존재했던 조동사는 일본 문법의 영향을 받아 시제와 서법을 나타내고 양태적인 의미를 보여주는 품사였다. 특히 박승빈의 조용사는 현재의 국어문법에서 시제와 존경의 선어말어미, 사동과 피동 접사와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그러나 최현배(1937)에서 이들을 보조어간으로 규정하여 이후에는 조용사를 문법서에 하나의 품사로 기술하는 일이 거의 없게 되었다. 조용사는 짧은 시간 존재하였지만 용언 어간에 결합하는 형식들을 더욱 세밀하게 기술할 수 있게 해 준 품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compared the associated word-classes, focusing on ‘Joyongsa’, which exis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Joyongsa can be seen in Lee Wan-eung(1929) and Park Seung-bin(1931, 1935, and 1937),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to connect verbs or adjectives and in the sub-classification system. However, they have a function that adds a special meaning to the original meaning of a verb or adjective, and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shows the tense and honorific system. Meanwhile, Jodongsa, which existed earlier than Joyongsa, was influenced by Japanese grammar, indicating the tense and the mood, and showing a modal meaning. In particular, Park Seung-bin s Joyongsa has many parts in the current Korean grammar that match the tenses and honorific pre-ending, causative and passive. However, Choi Hyun-bae(1937) defined them as ‘stem supplements’, and later, Joyongsa was rarely described as a word-class in the grammar book. Although Joyongsa existed for a short tim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allows us to describe in more detail the forms that combine between stem and ending of verbs and adjectives of Korean language.
1. 서론
2. 이완응과 박승빈의 조용사
3. 조용사와 조동사
4. 조용사와 인접 범주
5. 결론
참고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