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788.jpg
KCI등재 학술저널

어휘부 연구와 단어형성론

Lexicon and word formation

DOI : 10.51157/kmor.2021.23.1.1
  • 1,619

언어학에서 논의된 초기의 어휘부는 불규칙한 대상을 처리하기 위한 주변적인 영역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문장 연구와 차별화된 방식으로 단어 연구가 깊이를 더하고, 이른바 인지형태론의 등장과 함께 문법 단위의 저장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어휘부는 단어형성론의 핵심적인 연구 대상으로 주목을 받게 된다. 특히 한국어 단어형성론은 1990년대 이후 ‘규칙론-유추론’ 간의 활발한 토론을 거치면서 문법 내 어휘부의 위상과 모형, 등재 단위의 배열 양상 등 다각적인 내용으로 논의가 확장, 발전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형성과 등재’, ‘최소 등재와 완전 등재’, ‘결합과 대치’, ‘등재소 연결망(어휘적 연결 관계)’의 하위 주제를 대상으로 삼아, 기존 연구에서 쟁점이 될 만한 사항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Initial meaning of the lexicon in linguistics was the peripheral area that irregular units were handled in. But after word research deepened in a way different from sentence research and research of storage for grammatical units progressed through cognitive morphology, mental lexicon or dictionary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In particular, Korean word formation study has been extended and developed to diversified directions such as the status of lexicon in innate grammar, lexicon models, and arrangement of listemes in lexicon, etc. This paper discussed some issues of previous research on lexicon and word formation with four topics: formation and listedness, minimum listing hypothesis and full listing hypothesis, combination and substitution, and network of listemes(or lexical connection).

1. 서론

2. 주목할 만한 쟁점들

3. 어휘부와 문법 모형: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논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