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영국의 ‘경쟁적 대화절차(competitive dialogue procedure)’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ompetitive Dialogue Procedure’ in UK

  • 18
157763.jpg

2004년 EU 공공조달지침의 제정과 함께 도입된 ‘경쟁적 대화절차’는 2006년 공공계약법의 제정으로 영국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이 절차의 장점으로는 ① 경쟁적으로 민간부문의 제안을 받아냄으로써 보다 혁신적인 대안도출이 가능해진다는 점, ② 낙찰자 선정 이후에 지루한 협상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점, ③ 경쟁을 확보함을 통해 전반적으로 사업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 절차의 단점으로는 ① 발주청의 역량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효율적으로 운용되기 힘들다는 점, ② 대화과정에서 민감한 기업정보 등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 ③ 적절한 숫자를 넘는 참가자가 대화과정에 참여할 경우에는 시간지연과 비용상승이 발생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 절차의 도입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야 한다. ①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구조나 발주현황 등을 고려할 때 ‘적절한 숫자의 대안 및 후보자’ 확보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② ‘적절한 숫자의 대안 및 후보자’를 위해서 점차로 대안과 후보자를 줄여가는 것(de-selection)이 우리의 계약문화상 어느 정도 수용가능할지 여부도 검토가 필요하다. ③ 대화절차에서의 지적재산권 침해문제도 고려해야 하나, 당사자 간의 합의를 통해 보호되어야 할 기밀의 범위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이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④ 대화절차 자체의 지연을 막음으로 전반적으로 기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도 ‘적절한 숫자의 대안 및 후보자’의 존재가 필요하다. ⑤ 대화를 복수의 사업자와 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증가와 경쟁을 확보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절감을 비교해야 한다. ⑥ 기존의 협상에 의한 계약절차를 보완하여 경쟁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다.

The ‘Competitive Dialogue Procedure’ was introduced by the EU Public Procurement Directive in 2004 and was implemented by Public Contracts Regulations 2006 in UK. The competitive dialogue has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① It can derive more innovative solutions from the private sector. ② After the appointment of a preferred bidder, the procedure does not require a prolonged negotiation process. ③ The overall cost of doing business can be reduced by ensuring competition. However, competitive dialogue also has the following three negative elements. ① Without capabilities to perform the procedure, the procuring agency can face difficulties in operating it efficiently. ② There is a possibility to disclose commercially sensitive information during the dialogue process. ③ If more than adequate number of bidders participate in the dialogue process, the procurement cost can be increased and the procedure can be delayed. There are several issues to be considered in adopting competitive dialogue procedure in Korea. ① Considering the particular industry structure and procuring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enterprises in Korea, study should be made on the possibilities in securing appropriate number of solutions and bidders(candidates). ② To meet the adequate number of solutions and bidders, de-selection process should be considered. For this, the scope of allowing de-selection process in Korean contract environment should be examined. ③ During the dialogue procedure, bidders’ intellectual property should be carefully protected. Prior agreement on the range of confidentiality between bidders and procuring agency can be helpful. ④ To avoid the time delay, appropriate number of solutions and bidders are indispensable ingredient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is procedure. ⑤ The increased cost through the discussions with multiple bidders and the cost-reduction by ensuring competition should be compared. ⑥ ‘Negotiation procedure’ which is already implemented in Korea can be improved by securing competition.

1. 서론

2. 경쟁적 대화절차의 개요

3. 경쟁적 대화절차의 단계별 진행

4. 경쟁적 대화절차 시행에 대한 평가

5. 우리나라에의 도입여부

6.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