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토마스의 저서들을 통해 신학적 덕으로서의 신앙에 대한 정의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가 내린 신앙의 정의가 어떠한 이성적 사유의 과정을 거쳐 명제화 되었는지 탐구하고, 이 과정에서 그에게 영향을 미친 사유들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연구의 순서에 있어서는 먼저 신학적 덕이란 무엇인지가 고찰되고, 이러한 덕에 속하는 신앙의 정의가 탐구된다. 토마스는 ‘STh Ⅱ,Ⅱ, q.4, a.1.’을 통해 ‘신앙’(fides)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다룬다. 그에 따르면 ‘믿음’(credere)은 신앙의 내적 행위이다. 해당 절에서 그는 사도 바오로가 내린 신앙에 대한 정의, 즉 ‘신앙은 희망해야 하는 사물들의 실체이며, 명료하지 않는 것들에 대한 논증’이라는 히브리서 11장 1절의 말씀을 바탕으로 신앙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한다. 여기서 다뤄지는 ‘신앙’은 엄밀히 말해, 신학적 덕으로서의 희망(망덕) 그리고 사랑(애덕)과 함께 말해지는 신앙(신덕)이다. 주목할 점은 신앙에 대한 정의에서 지성의 작용이 언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토마스는 신앙이 지성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지성이 신앙에 대해 어떠한 양태로 언급될 수 있는지 탐구한다. 이를 통해 그는 지성 또는 이성과 신앙은, 각자의 고유한 영역이 있을 뿐이며 상대방의 영역에 들어가거나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주장에 반대한다. 오히려 그것들이 자신에게 맡겨진 고유한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서, 특정한 순간에 특정한 양태로 상대방을 보완하거나 완성시킨다고 생각한다. 신앙은 믿음의 대상에 관한 것이고, 이성은 이해의 대상에 관한 것이다. 이처럼 각자의 대상은 상이하지만 그럼에도 이 둘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이 존재한다. 토마스는 ‘지성’(intellectus)이 바로 그러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생각한다. 지성의 일차적인 목적은 진리의 인식에 있다. 이를 위해 지성은 그 본성에 따라 사물을 가지적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사물들의 질서에서 지성은 자신의 위에 있거나 아래에 있는 것들을 모두 그 실체의 양태에 따라 가지적으로 인식한다. 토마스는 이러한 특성을 지닌 지성을 통해 신앙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사유한다. 신앙은 믿음에 관한 것이 분명하지만, 여기서 믿음은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관해서는, 그것이 지성과 맺고 있는 관계를 중심으로 이성적으로 고찰될 수 있다. 토마스는 지성이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보이지 않는 신과 보이는 사물들을 연결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신학적 덕으로서의 신앙에 대한 토마스의 정의, 즉 ‘신앙이란 우리 안에서 영원한 생명이 시작되게 하는 정신의 습성이며, 명료하지 않은 것에 대해 지성이 동의하도록 만드는 것’이라는 말을 통해 드러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definition of faith as theological virtue by referencing to Thomas writings. To this end, it explores what is the process of reasonable speculation though which his definition of the faith is propositionalized. In doing so, it also considers what thoughts have effects on him. It initially considers what the theological virtue is, and then, examines the definition of faith belonging to the virtue. Thomas explored what is the fides in STh Ⅱ,Ⅱ, q.4, a.1. According to him, credere is an inner act of faith. In the paragraph, he analyzed what is the faith, based on Hebrews 11:1, faith is the substance of things to be hoped for, the evidence of things that appear not , which is also Paul the Apostle s definition of fides . The fides explored by this study is technically is the faith (act of faith) mentioned along with hope (act of hope) and love (act of love), as the theological virtu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finition of faith includes the act of intelligence. Thomas analyzed how the faith is associated with the intelligence and explored what a mode of intelligence can be mentioned in relation to the faith. In doing so, he disagreed to the argument that each of intelligence or reason and faith only has its own area, but it cannot enter or influence the counterpart s area. He rather thought that they are closely associated, while performing their own roles given them, so they complement or complete the counterpart in a certain mode, at a certain moment. The faith is about an object of belief, while the intelligence is about that of understanding. As such, each of them has different objects, though there is a point in which they can be interrelated. Thomas believed that the intellectus might play such a role. The primary goal of the intelligence is to recognize truth. To this end, it intelligibly recognizes things according to its nature. It, therefore, intelligibly recognizes all things above or below it according to the modes of its substance, under the order of things. Thomas thought what is the faith based on the intelligence with such characteristics. Although it is certain that the faith is about belief, the latter has a certain character, and how the act of it can be realized may be intellectually considered around its relation with the intelligence. Thomas thus connected the invisible God with visible objects by using the intelligence, a tool. This is revealed though his definition of the faith as theological virtue, faith is a habit of the mind, whereby eternal life is begun in us, making the intellect assent to what is non-apparent.
서론
Ⅰ. 신앙의 대상과 목적의 관계
Ⅱ. 신앙의 행위와 목적의 관계
Ⅲ. 신앙의 행위와 대상의 관계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