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858.jpg
KCI등재 학술저널

노년기 부부의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 590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부부관계 내에서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 간 종단적 상호관계가 어떠한지 탐색하는 데 있다. 부부의 상호의존성을 반영하고 부부자료를 하나의 모형에서 분석하기 위해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과 공통운명모형(Common Fate Model)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변인 간 종단적 상호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하였다.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0차 년도(2015년)부터 13차 년도(2018년)까지의 4개년도 자료로 부부자료(dyadic data)를 구성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15년 기준 60세 이상인 부부 1,383쌍(2,766명)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첫째,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만족도는 남편 우울, 아내 우울에 종단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관계만족도가 남편 우울에 미치는 영향보다 아내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편 우울 수준과 아내 우울 수준은 부부 공통의 관계만족도에 종단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의 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가 상호순환관계에 있음을 보여주며, 부부관계만족도의 저하와 우울의 증가라는 악순환 고리가 형성될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를 바탕으로 노년기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의 개선을 위해서 부부 단위의 개입과 부부 각자에 대한 개별적 접근을 병행해야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For longitudinal dyadic analysis, this study sets up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he Common Fate Model,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Data came from four annual waves from the 10th year (2015) to the 13th year (2018)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and the final sample comprised a total of 1,383 married couples over 60 years of age in 201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dentifi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with higher marital satisfaction of older couples leading to lower depression of husbands’ and wives’, and with higher depression of husbands’ and wives’ inducing lower marital satisfaction of the couples.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longitudinal interplay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an lead to a vicious cyc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ed to intervene at both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couple level was discussed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