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주거 특성이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using related characteristics on Aging in place among Older adults

  • 1,129
157858.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Aging in place 실현을 위해 노년기 주거 특성이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에 있어 노인의 건강상태가 중요하기에 건강할 경우와 건강하지 않을 경우를 같이 고려하였고, 주거특성을 경제적 측면인 자가 보유 여부, 주거비 부담, 환경적 측면인 주거 편리성, 주택만족도, 주거환경만족도로 구분하여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노인 9,79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건강할 경우와 건강하지 않을 경우를 같이 고려하였을 때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한 노인이 6,704명(68.4%), 건강할 경우에는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하지만, 건강상태가 악화될 경우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하지 않는 노인이 3,094명(31.6%)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별 평균 주거 특성을 비교한 결과,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한 노인집단이 그렇지 않은 노인집단보다 주거비 부담은 적었으며 주택만족도와 주거환경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항 로지스틱 분석결과 주거특성 중 경제적 요인인 자가를 보유할 경우, 주거비 부담이 적을수록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고, 환경적 요인인 노인을 위한 설비를 갖춘 경우와 주택만족도,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의 실제 선호하는 Aging in place의 욕구를 파악하였고, 노인의 욕구를 존중하면서 진정한 Aging in place의 실현을 위해 실천적,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주거에 초점을 맞추어 경제적 측면에서 주거안정성을 높여줄 노후준비와 주거비용 경감의 필요성, 주거환경의 측면에서 고령친화적인 주택환경과 지역사회 인프라 구축의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housing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o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living in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realize the Aging in place of the elderly in Korea. Considering that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s important for aging in place, both healthy and unhealthy cases were analyzed in the analyses. Housing characteristics include home ownership, housing cost burden, housing convenience, housing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study sample is 9,798 elderly people from the 2017 survey on the elderly.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6,704 older adults (68.4%) chose to continue living in the community, 3,094 (31.6%) of the elderly did not choose to live in the local community. Second, the elderly who chose to stay in the local community are likely to have more real estate assets and less burden of housing expenses than the elderly group who did not. Third, the results report that older adults with more real estate assets and lower the housing cost burden are likely to choose sustainable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ajority of the elderly actually preferred Aging in place. This study concludes with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alizing aging in place considering the elderly s needs.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