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 뉴스 빅데이터를 통한 코로나 19 담론과 사회복지 개입방안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 여지영(Jiyoung Yeo)
- 한국노년학회
- 한국노년학
- 제41권 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6
- 353 - 371 (19 pages)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의 독거노인에 대한 빅데이터를 토대로 사회전반적인 개입 및 대응의 담론을 밝힘으로써 사회복지적 정책 수립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9년 25일까지 수집된 온라인 뉴스 데이터를활용하여 사회관계망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관계망 분석결과, 연결정도 중심성, 위세중심성, 매개중심성 모두 지역, 전달, 사회, 지원, 취약을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됨으로써 독거노인에 대해서는 각종 지원 및 서비스 전달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공공전달체계 구축’‘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돌봄공백 보전관리’‘민간 경제적 지원체계 구축’‘봉사조직체계 구축’등의 주제가 나타나며, 크게 정부, 지역사회, 민간에서의 유기적역할에 대한 담론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상황에서 독거노인에 대한 개입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언함으로써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ues to social welfare policy making by revealing discourse on social intervention and response based on big data on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VID-19 situation.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topic analysis were utiliz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news media have portrayed challenges facing older individuals and the ways in whic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as private organization have responded to the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tworks(degree, closeness, betweenness) were formed around region, delivery, society, support, and vulnerability, suggesting an increased demand for economic assistance and social support as well as stronger service delivery systems. Second, key topics derived included “establishing public delivery systems”, “establishing local networks”, “Managing care gap”, “Establishing a private economic support system”, and “Establishing service organization syst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iscourse on the organic role of government, communities and the private sector has been presented, suggesting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proposing a discussion on how to intervene for elderly living alone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COVID-19.
Ⅰ. 서론
Ⅱ. 독거노인에 대한 돌봄 취약성과 코로나 19의 영향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