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관한 경로분석
Path Analysis on the Reemployment will of Middle-aged People: Focusing on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제5권 제2호
- : KCI등재후보
- 2021.05
- 53 - 87 (35 pages)
우리사회의 중장년층은 50대 전후로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을 하게 되지만, 산업구조의 변화, 기업의 임금부담, 연령제한 등으로 중장년층이 질 좋은 일자리로 재취업하는 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에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영향요인을 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설정하고 전국 40~64세의 중장년층 200명을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총 8개의 경로 중 2개의 경로를 제외한 6개의 경로는 통계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경로계수가 가장 큰 것은 노화불안→경제스트레스(0.539**), 이어서 사회참여→긍정심리(0.323**), 경제스트레스→재취업의지(0.227**), 긍정심리→재취업의지(0.220*), 노화불안→긍정심리(-0.197**), 사회규범→긍정심리(0.16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참여와 사회규범은 긍정심리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긍정심리는 노화불안과 재취업의지 간의 완충역할을 하였으며, 긍정심리와 경제스트레스는 재취업의지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화불안과 경제스트레스는 부정성을 내재하는 변수로서 두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부정성이 더 강화되어 재취업의지를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과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중장년층의 재취업정책은 심리적 특성과 욕구가 반영된 다양한 일자리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이나 고용주, 일자리기관 등에서는 중장년층의 심리적 이해를 돕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언한다.
Middle-aged people in our society will retire from their main jobs around their 50s, but it is not easy for middle-aged people to re-employment high-quality jobs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corporate wage burden, and age restrictions. In response, factors affecting the will of the middle-aged to re-employment were set as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200 middle-aged people aged 40 to 64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zed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and derive implica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six out of a total of eight paths, excluding two, were significant at the statistical level. The largest coefficient of seniority was aging anxiety → economic stress (0.539**), followed by social participation → positive psychology (0.323**), economic stress → reemployment willingness (0.227**), positive psychology → reemployment willingness (0.220**), aging anxiety → positive psychology (-0.197**), and social norm → positive psychology (0.166**). In addi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norms served as factors that boosted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sychology served as a buffer between aging anxiety and reemployment willingness, and positive psychology and economic stress were found to increase reemployment willingness. In particular, aging anxiety and economic stress are variables that inherent negativity, which have been shown to increase the willingness to re-employment by strengthening negativity when the two variables work in combin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ntegrated empirical analysi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s factors affecting the will to re-employment of middle-aged people and reveal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reemployment policies for middle-aged people need to establish various job policies that reflec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ants, and that companies, employers, and job institutions need to provide various education, training and programs to help middle-aged people understand psychologicall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