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동학의 개념과 구조에 대한 재검토 및 운동전문인 교육의 방향 탐색
Reexamining Concept and Structure of Kinesiology and the Directions for the Preparation of Kinesiology Professionals
- 옥정석(Oak, Jung-Sok) 유인화(Yoo, In-Hwa)
- 대한운동학회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 제16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4.07
- 157 - 169 (13 pages)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학이라는 개념의 변천과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 등장하는 운동학의 개념과 구조에 대한 재검토 작업을 통하여 운동전문인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체육학 및 운동학의 개념과 한계, 의의 등을 다룬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문헌연구를 시도하였다. [결과] 첫째, 전통적인 체육학 개념의 변전과정을 살펴볼 때 한계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대안으로 등장하는 운동학의 재구조화를 위해 두 가지 측면 즉, 학문성을 중심으로 한 구조화와 직업전문성을 중심으로 한 구조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셋째, 운동전문인 교육을 위하여 대학이 해야 할 4가지 기능적 역할이 제안되었다. [결론] 운동학이 직업전문성을 중심으로 재구조화되고, 그에 맞는 대학교육과정을 단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면 운동학의 미래는 밝다고 할 수 있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direction of Kinesiologist professionals through reexamining of the Kinesiology concept and structure. [METHOD] document analysis was used abundant express and the articles about concepts, structure and the limitations related with sport, kinetics, exercise were collected [RESULT] First, traditionally the concept and name of P. E has been changed in accord with the social trend. The name of P.E.,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and sport had a weakness to include the whole categories of this discipline itself. Second, the name kinesiology was the alternative of the traditional P.E. and etc. The key concept and structure was suggested through reexamining kinesiology by two ways. That is, one is called academic-based reexamining, the other is professional-based reexamining. Third the direction for collegiate curriculum was suggested in four directions. [CONCLUSION] If this discipline had a concept and structures based on the kinesiology, and collegiate curriculum were provided, then the future of kinesiology in Korea will be prosperous.
서론
운동학의 개념과 구조
대안으로서 운동학
운동전문인 교육의 나아갈 방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