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84.jpg
KCI등재 학술저널

키네시오 테이핑이 플라이오메트릭 서전트 점프 운동 중 수행횟수, 심박수, 운동자각도 및 근전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Repetition, Heart Rate, RPE and EMG Responses during Plyometric Sargent Jumping

  • 1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플라이오메트릭 서전트 점프를 동일 시간과 동일 횟수 동안 수행하는 동안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 여부에 따른 운동수행능력인 반복횟수, HR, RPE, 근활성도와 근피로 변인의 반응을 비교하여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의 효과를 구명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남자 대학생 1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여부에 따라 플라이오메트릭 non-taping 30 sec jumping과 taping 30 sec jumping 중 수행횟수, 심박수, 운동자각도 및 근전도 반응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최소 수행 횟수인 non-taping 23 times jumping과 taping 23 times jumping 중 근전도 반응을 분석하였다. 근전도 반응은 하지 4개 근육에서 측정하였으며, 테이핑은 고도일(2002)과 어강(2001)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Non-taping과 taping 30 sec jumping의 반복횟수는 0.1회, 심박수는 0.8회의 미미한 차이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자각도는 taping이 1.7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Non-taping과 taping 30 sec jumping 운동 중, 그리고 non-taping과 taping 23 times jumping 운동 중 RMS는 4개 근육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Non-taping과 taping 30 sec jumping 운동 중, 그리고 ton-taping과 taping 23 times sec jumping 운동 중 MedPF 편차는 4개 근육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플라이오메트릭 30초 서전트 점프 운동 중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결과, 반복횟수와 심박수는 거의 유시하였으나, 운동자각도는 1.7 낮게 나타나 부분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근육에서 근활성도와 근피로도는 30초 점프와 23회 점프에서 모두 미미한 차이만 나타나 테이핑의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와 다른 근육의 수축 양식의 차이에 의한 것일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repetition, heart rate, RPE, and EMG responses on Kinesio taping during plyometric Sargent jumping,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METHODS] Subjects were consisted of 11 college men. Metabolic and EMG responses were measured during the non-taping 30 sec jumping or taping 30 sec jumping tasks. EMG responses were also measured during the non-taping 23 times jumping or taping 23 times jumping task. EMG responses were measured on four 4 leg muscles. Kinesio taping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Kho(2002), and Uh(2001) s methods. Pairedt-test was used for comparisons between taping and non-taping conditions for each dependent variable. [RESULTS] There were slight yet insignificant differences in repetition (0.1 fold) and heart rate (0.8 bpm)between non-taping and taping 30 sec jumping. RPE was 1.7 lower in the taping 30 sec jumping compared to the non-taping 30 sec jumping(p<.01).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RMS data between non-taping vs taping 30 sec jumping, or non-taping vs taping 23 times jumping were in significant on all of 4 muscles. The first and the last two jump s MedPF values were in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on-taping vs taping 30 sec jumping or non-taping vs taping 23 times jumping. [CONCLUSIONS] Our data indicate that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muscle activity and fatigue are minimal during plyometric Sargent jumping trial. The discrepancy of these results from the previous studies might be due to a different contractile mode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