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Quantitative Image Quality of Brain CT between Head-first and Feet-first Position with an Emphasis on Image Sharpness
두부 CT 검사 시 Head first 자세와 Feet first 자세에서의 선예도 평가를 이용한 정량적 화질 비교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3권 제1호
-
2021.0319 - 27 (9 pages)
-
DOI : 10.31320/JKSCT.2021.23.1.19
- 19
두부 CT검사는 Head first 자세로 진행하고 있다. 응급 중환자는 두부 CT검사 시 여러 부위의 처방을 동시에 진행하기도 하며 검사 테이블의 이동범위가 길어져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고위험 의료기기들이 탈락될 수 있다. 이럴 경우 검사 자세 방향을 Feet first 자세로 진행하기도 하는데 선속경화현상의 발생 가능성 때문에 지양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Head first 자세와 Feet first 자세로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씩을 대상으로 영상의 노이즈와 Plot profile을 이용한 선예도 평가를 하여 두 자세 방향에서의 영상 화질을 비교하였다. 후향적 환자 연구 시 기저핵(basal ganglia) 부위와 추체골(petrous bone) 중앙의 소뇌 (cerebellum) 두 부위의 노이즈 결과는 Head first 자세와 Feet first 자세 순서로 sequence mode에서는 3.64±0.35 vs 3.89±0.44, 4.79±0.58 vs 4.96±0.51 이고, Helical mode에서는 3.51±0.24 vs 3.89±0.43, 4.79±0.58 vs 4.99±0.48 이었다. Line density profile을 기반으로 수치화하여 최소값에서 최대값으로 증가하는 X축 구간의 반치폭(FWHM) 길이는 sequence mode에서 1.47±0.39 mm vs 1.56±0.38 mm 이고 Helical mode에서는 2.02±0.53 mm vs 2.16±0.55 mm이었다. 자세의 차이(Head first vs Feet First)에 따라서 Sequence와 Helical mode 모두 노이즈 측면에서는 Sequence mode에서 수치가 조금 낮았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선예도 측면을 봐도 자세에 따른 차이는 수치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Head first 자세와 Feet first 자세에서 영상의 노이즈와 반치폭의 길이 차이는 크지 않았고, 따라서 응급 중환자 및 임상적 상황에서 필요 시 Feet first 자세는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Brain CT scans are usually run in the head first position(HFP). Critical emergency patients may be prescribed for several areas at the same time during a CT scan of the head. And as the moving range of the examination table is extended, high-risk medical devices that are applied to patients may be eliminated. In this case, the examination posture direction is sometimes in the feet first position(FFP), which has been avoided due to the possibility of beam hardening artifact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sharpness using image noise and plot profile for each of 20 patients who underwent the examination in the HFP and the FFP to compare the image quality in two posture directions. In retrospective study, the noise results of the basal ganglia and the cerebellum 2 ROI in the center of the petrous bone were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 HFP and the FFP. And they were 3.64±0.35 vs 3.89±0.44, 4.79±0.58 vs 4.96±0.51 in sequence mode, and 3.51±0.24 vs 3.89±0.43, 4.79±0.58 vs 4.99±0.48 in helical mode. The length of half-width(FWHM) of the X-axis section increasing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by quantifying based on the line density profile was 1.47±0.39 mm vs 1.56±0.38 mm in sequence mode and 2.02±0.53 mm vs 2.16±0.55 mm in helical mode. As a result, In the HFP and the FFP image, 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noise and the half-width was not significant,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posture of the FFP is possible when necessary in emergency critical patients and clinical situation.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