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김천 제석리 석곽묘 구성암석의 암석학적 특성 분석과 공급지를 해석하였다. 석곽묘는 총 11종의 다양한 암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화강암(34.5%), 우백질화강암(26.9%), 편상화강암(24.4%)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추정산지 탐색 결과, 유적 남쪽의 제석산 계곡 일대에서 동일 암종 및 유사한 변성도의 석재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석곽묘의 석재는 제석산 계곡의 상류 및 제석리 마을과 1.7k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조달했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결과는 당시 장례문화의 고고지질학적 해석과 매장문화재 보존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ource area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rock properties from the Jeseokri stone-lined tombs located in Gimcheon by analyzing its rocks and source rocks. As a result, the Jeseokri stone-lined tombs consists in a total 11 kinds of various rock types. And aplite (34.5%), leucocratic granite (26.9%) and schistose granite (24.4%) have a large percentage of the rock’s composition. By examining the possible provenances, the same rock types and the stones of a similar with metamorphic grades are discovered along the Jeseok mountain valley located to the south of tomb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ock properties of the Jeseokri stone-lined tomb were supplied from the upper Jeseok mountain valley and about 1.7km away from Jeseokri.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archaeogeological interpretation of funeral culture and conservation data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in the age.
1. 서 언
2. 현황 및 연구방법
3. 암석학적 특성
4. 산지해석
5. 고 찰
6. 결 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