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889.jpg
SCOPUS 학술저널

국내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

Uranium Levels in Groundwater of CGS (Community Groundwater System) of Korea

DOI : 10.9719/EEG.2018.51.6.543
  • 12

광역상수도의 이용이 어려운 농촌지역의 식수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3,820개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을 분석하였다. 전체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함량분포는 다수의 데이터가 낮은 농도 값의 범위에 치우쳐 있는 상태를 보였으며 최고 함량은 1,757.0 µg/L, 평균 함량은 6.46 µg/L, 중앙값은 0.76 µg/L으로 나타났다. 3,820개 지하수의 우라늄함량을 10개의 지질로 분류하면 3개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 중앙값이 높으며(0.99-2.05 µg/L), 퇴적암과 다공성화산암지역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 중앙값은 0.04-0.50 µg/L으로 낮았다. 전체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이 USEPA의 기준치인 30 µg/L를 초과하는 비율은 3.8%이나 쥬라기화강암과 선캠브리아기화강암지역의 초과율은 각각 8.5%, 7.5%나 되어 이 지역에서는 기존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우라늄 관리와 함께 신규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개발에 주의가 요구된다.

The uranium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in groundwater collected from 3,820 community groundwater system (CGS) located in remote rural areas where access to the nationwide water work is not easy.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uranium concentrations shows a lognormal distribution which is common in most radionuclide surveys. The measured maximum uranium concentration was 1,757.0 µg/L with an average of 6.46 µg/L and a median of 0.76 µg/L. When grouping the uranium concentration results of CGS into 10 geological units, the median uranium concentration was high (0.99-2.05 µg/L) in three granite areas, and low in sedimentary rocks areas and porous volcanic rocks areas (0.04-0.50 µg/L). Of the 3,820 samples, 3.8% are above the guideline value of 30µg/L (WHO, 2011). On the other hand, the exceeding rates of JGRA and PGRA CGS are 8.5% and 7.5%, respectively.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paid for the development of new CGS along with the management of the existing CGS in JGRA and PGRA areas.

1. 서 론

2. 지질 분류

3. 시료채취와 분석

4. 결과 및 고찰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