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889.jpg
SCOPUS 학술저널

우리나라 지하수에 적합한 알칼리도 분석법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Alkalinity Analysis Methods Suitable for Korean Groundwater

DOI : 10.9719/EEG.2018.51.6.509
  • 102

알칼리도(alkalinity)는 물의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고, 각종 오염물질의 거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기본 변수이다. 그러나, 적지 않은 실험실과 연구자들이 적절하지 못한 분석법으로 지하수의 알칼리도를 분석하고 있으며, 이것이 불량한 이온균형오차를 야기하는 큰 이유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알칼리도분석법들을 조사하고 그 장단점을 분석함으로써, 지하수 알칼리도 분석을 수행하는 실험실이나 분석자들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pH적정곡선의 변곡점으로 알칼리도 적정 종점(end point)를 찾는 방법이 가장 정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Gran적정법이 종점까지 적정한 용액의 부피를 정확히 산출하는데 가장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현재에도 여전히 많이 이용하고 있는 pH지시약을 이용하여 적정하는 방법이나 미리 정해진 pH를 종점으로 하여 적정하는 방법은 묽거나 알칼리도가 낮은 지하수의 분석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lkalinity is one of the basic variables, which determin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s and participate in processes changing concentrations of various contaminant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However, not a few laboratories and researchers of Korea still use alkalinity-measurement methods not appropriate for groundwaters, and which becomes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the poor ion balance errors of the geochemical analysi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alkalinity-measurement methods, to discuss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thus, to help researchers and analytical specialists in analyzing alkalinity of groundwaters. The pH-titration-curve-inflection-point (PTC-IP) methods, which finds the alkalinity end point from the inflection point of the pH titration curve are revealed to be most accurate. Gran titration technique among them are likely to be most appropriate for accurate estimation of titrant volume to the end point. In contrast, other titration methods such as pH indicator method and pre-selected pH method, which are still commonly being used, are likely to cause erroneous results especially for groundwaters of low ionic strength and alkalinity.

1. 서 론

2. 알칼리도의 정의

3. 알칼리도가 0이 되는 지점

4. 국내 지하수의 특성

5. 알칼리도의 표기법

6. 공인된 분석법들과 기타 분석법들

7. 적정용액 및 표준용액

8. pH지시약 분석법

9. 기정(旣定) pH 적정법(titration to pre-selected pH)

10. 발색법 (colorimetric method)

11. pH적정곡선 변곡점법(IPC-IP 법)

12. Gran 적정법

13. 기타 분석법들

14. 시료전처리

15. 결 언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