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889.jpg
SCOPUS 학술저널

밀양 국전광산의 녹-청색 구리-아연 수화황산염 광물

Green-blue Coloured Cu-Zn Hydrated Sulfate Minerals from Gukjeon Mine in Miryang

DOI : 10.9719/EEG.2018.51.6.473

경남 밀양시에 소재한 납-아연 스카른 광상인 국전광산의 갱내 벽면을 따라 지하수로부터 침전된 청-녹색의 광물들이 암반을 피복하고 있는데, 이 광물들은 과거 문헌에서 남동석과 공작석으로 기재되어 왔으나, 최근 연구를 통해 녹색의 광물은 데빌린(devilline), 청색의 광물은 수화구리아연황산염 광물들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동정이나 광물학적 특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청-녹색 이차 광물들을 외형적 특징에 따라 5개 그룹으로 구분하고, X-선회절분석와 주사전자현미분석을 실시하여 정확한 광물 동정과 광물학적 특성을 명하였다. GJG-1은 밝은 청록색을 띠는 그룹으로 브로칸타이트(brochantite)와 석영, GJG-2는 연두색을 띠며 쉽게 부스러지는 특징을 가지는 그룹으로 슐럼버가이트(schulenbergite)와 소량의 석고(gypsum)로 확인되었다. 연한 청색의 GJG-3와 유리광택을 가지는 청록색의 GJG-4는 외형적 특징은 달랐지만 구성 광물은 서피어라이트(serpierite)와 석고로 동일하고, 석고의 함량이 달라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GJG-5는 연한 청색과 진한 청색의 광물들이 혼합된 겔(gel)상으로 하이드로우드워다이트(hydrowoodwardite), 글로코세리나이트(glaucocerinite), 베체러라이트(bechererite), 서피어라이트와 석고로 구성된다. 국전광산에서 산출되는 6가지의 녹-청색 광물들은 Cu:Zn 비, (Si+Al) 함량 및 Si:Al비, Ca 함량 등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광물들의 형성 환경은 주변 유체 내에서 이와 같은 지화학적 요인들에 의하여 조절된 것으로 사료되고,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정확한 형성 환경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서피어라이트, 글로코세리나이트, 베체러라이트 등의 수화황산염 광물들은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되며, 해외에서도 보고된 사례가 매우 적어 광물학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

Green-blue coloured supergene minerals are covering host rocks along the gallery wall in the Gukjeon mine, a lead – zinc skarn deposit located in Miryang, Gyeongsangnam-do. These minerals have been described as azurite or malachite, but recent study recognized that the green minerals are devilline and blue minerals are Cu-Zn hydrated sulfates, but exact identification and detailed mineral characteristics are also not well known. In this study, we divide green-blue minerals into five groups (GJG) according to their external features and conducted XRD and SEM analyzes in order to identify mineral name and clarify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GJG-1, a bright bluish green group, consists of brochantite and quartz and GJG-2, a pale green colour with easily crumbly, of schulenbergite and a small amount of gypsum. Although pale blue GJG-3 and glassy lustrous bluish green GJG-4 have the same mineral assemblages with serpierite and gypsum in spite of different colour and luster, gypsum content may control the physical properties. GJG-5 with a gel phase mixture of pale blue and dark blue mineral is comprised of hydrowoodwardite, glaucocerinite, bechererite, serpierite and gypsum. The six green-blue minerals from the Gukjeon mine could be classified by Cu:Zn ratio, (Si + Al) content, Si:Al ratio, and Ca content. The physico-chemical environment of mineral formation is considered to be controlled by the geochemical factors in the surrounding fluid, and it looks forward that the accurate formation environment will be revealed through additional research. This paper gives greater mineralogical significance in the first report of several hydrated sulfate such as serpierite, glaucocerinite and bechererite in Korea. It has also rarely been reported the occurrence of several Cu-Zn hydrated sulfate in the same deposit in the world.

1. 서 론

2. 연구 재료 및 연구 방법

3. 결과 및 토의

결 론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