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893.jpg
SCOPUS 학술저널

원격탐사기반 시화호 간척사업과 갯골변화 관찰

Monitoring Variation of Tidal Channels associated with Shihwa Reclamation Project using Remote Sensing Approaches

DOI : 10.9719/EEG.2019.52.4.299
  • 79

본 연구는 시화호 대규모 간척사업의 개발기간에 따른 갯골의 변화양상을 원격탐사적으로 분석하였다. 간척사업 기간을 개발기, 폐쇄기, 개방기로 나누고, CORONA, Landsat 5 TM, Landsat 7 ETM+, 항공정사영상을 활용하여 각 시기별 갯골의 수, 연장, 너비, 방향 등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갯골의 수는 전반적으로 개발기에서 개방기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3차 갯골의 경우 1차, 2차 갯골과는 달리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갯골의 연장은 개발기부터 폐쇄기까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고, 개방기에 2차, 3차 갯골의 연장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평균너비는 2차, 3차 갯골이 개발기에서 폐쇄기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개방기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갯골의 방향은 전반적으로 북서와 남동 방향을 보이지만, 폐쇄기에서 개방기로 전환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장미도표(Rose diagram)의 형태가 남동방향의 빈도가 줄고 북서 방향 주변에서 집중되어 형태를 보였다. 이러한 갯골의 변화는 시화호 개발이전 안정적으로 에너지가 공급되던 환경에서 폐쇄기의 인공적인 환경변화로 인한 에너지의 차단, 그리고 다시 수문이 개방되어 갯골에 일부 에너지가 공급되는 환경변화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variation of tidal channels associated with Shihwa reclamation project for corresponding observation period based on remote sensing approaches. The project period was subdivided to developing period, closed period, and open period based on developing and management plan of Shiwa lake, and number, length, width, and direction of tidal channels for each period were analyzed using CORONA, Landsat 5 TM, Landsat 7 ETM+, and orthorectified aerial photographs. Number of tidal channels decreased from developing to opening period while 3rd order channles did not show noticeable changes. The length of tidal channels decreased during developing to closed period, and increasing trend of 2nd and 3rd order channels was observed for the opening period. The average widtrh of 2nd and 3rd order channels decreased from developing to closed period, and increased during open period. The direction of tidal channels showed NW and NE direction in general, while the rose diagram showed deacrased frequency of NE direction and increased frequency of NW direction during the open period. These variations in tidal channels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changes in tidal energy environment, where stable energy environment before the project was changed to disconnection of tidal energy by closed environment, and re-connection of the energy during the open period.

1. 서 언

2. 연구지역

3. 연구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 론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