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894.jpg
SCOPUS 학술저널

울릉도 죽암분석층에서 나온 화성쇄설물들의 조직과 분화유형

Eruption Types and Textures of Pyroclastics from the Jugam Scoria Deposits, Ulleung Island, Korea

DOI : 10.9719/EEG.2019.52.5.459
  • 13

울릉도 북동부 죽암분석층에서 나온 조립 라필리의 밀도, 기공률과 미조직에 대한 정량적 및 정성적 평가를 하였다. 이들 라필리는 하부에서 61%와 상부에서 67%의 최빈기공률, 그리고 연결되지 않은 아원상 기공이 우세한 기공집단을 가진다. 최빈기공률의 쇄설물은 외연부에 평행한 누대를 가지는데, 이 외연부는 대기저에서 급랭된 것이며 미정 없는 적철유리대로서 “파쇄동시”의 마그마성 조직을 보존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 적철유리 외연부는 내부로 가면서 점차 조립화되는 미정 및 기공 조직을 갖는 “파쇄후”의 흑철유리 내부로 점이된다. 그리고 탈기작용 시나리오는 마그마가 주로 닫힌계에서 탈기되었음을 증명해주는 파쇄동시 기공조직과 연결된다. 한편 대기와 접촉하는 조면안산암질 화성쇄설물의 확산적 냉각속도는 치솟는 분사에서 화성쇄설물의 운반과 분산에 관해 추론할 수 있는 파쇄후 기공 및 미정 조직과 연결된다. 이러한 조직 분석은 죽암 분화가 일반적인 대기저 분화유형 중에서 부분적으로 하와이식 분천을 닮은 스트롬볼리식 분화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We present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density, vesicularity and microtextures for coarse lapilli collected from the Jugam Scoria Deposits, northeastern Ulleung Island. Lapilli from the deposits have modal vesicularities of 61% in the lower part and 67% in the upper part, and vesicle populations dominated by non-interconnected subround vesicles. Clasts of modal vesicularity have margin-parallel zonation, with subaerially quenched rims interpreted to preserve “syn-fragmentation” magmatic textures in microlite-free sideromelane rims, grading “post-fragmentation” tachylitic interiors with vesicle and microlite textures that progressively coarsen from rim to interior. Degassing scenarios are linked to syn-fragmentation vesicle textures to demonstrate that the magmas degassed in dominantly closed systems. And diffusion-controlled cooling rates of trachyandesitic pyroclasts in contact with atmosphere are linked to post-fragmentation evolution of vesicle and microlite textures to infer about transportation and dispersal of the pyroclasts in low shooting jets. These textural analyses show that the Jugam eruptions were strictly applied to the strombolian type, analogous to the hawaiian type among any classical subaerial eruption type.

1. 서 언

2. 지질개요

3. 죽암분석층 특징

4. 결 과

5. 해 석

6. 토 의

7. 결 론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