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896.jpg
SCOPUS 학술저널

단양지역 지질·지형자원의 가치와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의 활용방안

Value of Geologic·Geomorphic Resources of Danyang-gun and Its Application from Geotourism Perspective

DOI : 10.9719/EEG.2020.53.1.45
  • 182

단양에는 다양한 종류의 암석과 다양한 시대의 지층이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환경 및 구조운동을 학습하기 좋은 다양한 지질구조들이 발달해 있으며, 전형적인 카르스트지형, 풍화지형 그리고 하천지형이 발달해 있다. 따라서 지질·지형학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 자원들을 잘 개발하고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활용한다면, 관광객 흡수요인 다변화 및 지역민 고용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단양은 야외지질답사를 위한 매우 좋은 지질자원들을 보유하고 있어서 지질학에 대한 관심유도를 통해 학문의 저변확대와 후학 양성 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발굴된 자원과 가치평가를 통해 학술·교육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되는 자원을 선정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취성 및 연성 변형구조를 통해 지질구조운동을 학습할 수 있는 구조길(Route A: 일명 “정환길”), 다양한 암석과 층서, 그리고 접촉관계를 관찰할 수 있는 층서길(Route B: 일명 “순복길”), 전형적이고 다양한 지형(카르스트지형, 하천지형, 풍화지형)을 관찰하고 풍류를 즐길 수 있는 풍류길(Route C: 일명 “삿갓길”) 등 세 개의 지질탐방코스를 제안하였다. 이들 지오트레일 코스가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해설판과 전망대 설치, 지역민 해설사 양성, 탐방객 센터와 체험프로그램 개발 등이 함께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In Danyang area, various geological structures as well as various lithology and strata are well developed, which are useful for studying paleo-environment and structural movements, and also typical karst landforms, wethering landforms and river landforms. If geologically and geomorphologically valuable resources are used in terms of geotourim perspective, it is expected that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through diversification of attracting factors and employment creation of local people. Danyang has many excellent geological resources for geological field trip, they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eology such as expanding the base of geology and cultivating successive generations.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newly discovered sites and previously excavated resources based on academical and educational values. By using these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resources, we suggest three geotrail courses as follows. First, Geo-trail A is mainly focused on geological structures (Route A: Jeong Hwan Route), where we can learn geological deformation and movement through various brittle and ductile deformation structures. Second, Geo-trail B is mainly focused on stratigraphic importance (Route B: Soon-Bok Route), which emphasizes on various rocks, strata and contact relationship. Third, Geo-trail C is mainly focused on geomorphological landforms and landscapes (Route C: Satgat Route), which provide information about different geomorphological landform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geological agents. In order to operate these geotrail courses efficiently, installation of explanation boards and view points, cultivate local commentators, and visitor centers and experience programs should be properly prepared together.

1. 서 론

2. 연구지역 개관

3. 지질·지형자원의 평가 및 선정

4. 지질·지형자원의 가치

5. 선정된 지질·지형자원에 대한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의 활용방안

6. 토 론

7. 결 언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