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896.jpg
SCOPUS 학술저널

저투수성 매체 내 오염물질의 정확산과 역확산

Forward and Back Diffusion from Low Permeability Zone: A Review of Analytical Solutions with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DOI : 10.9719/EEG.2020.53.1.99
  • 24

국외에서는 DNAPL오염부지 정화처리 과정에서 오염된 저투수성 매체를 주요 관리대상으로 고려하며, 저투수성 매체로부터 역확산하는 오염물질과 대수층 오염 지속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 지하수 분야에서는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논문은 저투수성 매체에서 오염물질의 정확산 및 역확산 현상을 소개하고 대표적인 연구사례를 통해 그 중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투수성 매체의 경계조건에 따른 6개의 정확산 및 역확산 시나리오와 각각의 시나리오에 사용된 해석해를 제시하였다. FI (forward diffusion into infinite domain)와 BI (back diffusion from infinite domain) 시나리오는 저투수성 매체의 깊이를 무한하게 가정한 경우, 정확산과 역확산 시나리오를 나타내며 과거 대다수의 저투수성 매체와 관련된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저투수성 매체의 깊이를 유한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한 경계에서 정확산 시나리오는 FFN(forward diffusion into finite domain with no flux boundary), 역확산 시나리오는 BFN (back diffusion from finite domain with no flux boundary)이다. 또한 저투수성 매체 하부 경계를 통한 오염물질의 이동이 가능할 때 정확산 시나리오는 FFF (forward diffusion into finite domain with flux boundary), 역확산 시나리오는 BFF (back diffusion from finite domain with flux boundary)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시나리오와 해석해를 사용한 모델링은 저투수성 매체의 깊이 또는 오염 노출 기간 등의 현장 특성에 맞는 오염처리 공법을 선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모델링 결과는 대수층의 정화 이후에도 역확산으로 발생하는 오염의 지속기간, 오염 정도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오염 정화처리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a global trend to consider contaminated low-permeability zones as one of the primary management targets for the remediation of DNAPL contaminated sites. In addition, studies on the persistence caused by back diffusion of DNAPLs from low-permeability zon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worldwide. On the other hand, the studies for domestic groundwater contamination with the low-permeability zon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the forward and back diffusions of DNAPL through low-permeability zones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m by reviewing representative previous studies, especially on back diffusion and plume persistence. We proposed six diffusion scenarios and analytical solutions based on various boundary conditions of low-permeability zones. FI (forward diffusion into infinite domain) and BI (back diffusion form infinite domain) scenarios illustrate forward and back diffusion in which the depths of a low-permeability layer are assumed to be infinite. FFN (forward diffusion into finite domain with no flux boundary) and BFN (back diffusion from finite domain with no flux boundary) scenarios describe forward and back diffusion for a finite domain of a low-permeability layer with no flux boundary at the bottom. When the bottom of a low-permeability layer is considered as flux boundary, forward and back diffusion scenarios correspond to FFF (forward diffusion into finite domain with flux boundary) and BFF (back diffusion from finite domain with flux boundary). The scenarios and analytical solutions in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determination of an efficient remediation method based on site characteristics such as a thickness of low-permeability zones or duration of contamination exposure.

1. 서 론

2. 정확산과 역확산의 개념

3. 경계 조건에 따른 정확산 및 역확산의 해석학적 모델링

4. 오염물질 플럭스(flux)

5. 토의 및 제언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