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학술저널

Effect of Airborne Lead Concentration Characterized by Size on Blood Lead and Their Relationships

납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납 크기 특성과 혈액중 납과의 관계

  • 이용수 8
127354.jpg

키워드

초록

4개 업종(축전지제조업, 광명단 제조업, 2차 제련업, 라디에타 제조업)에서 근무하는 총 10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8단계다단충돌기(eight stages personal cascade impactor)에 의한 입자 크기별 납농도를 측정하였다. 크기별 납 농도는 총납(PbA), 흡입성납(IPM-PbA), 흉곽성납(TPM-PbA), 호흡성납(RPM-PbA), 1 &#61549;m 미만의 납(Pb1&#61549;) 그리고 1 &#61549;m 이상의 소화성납(Pbing)이었다. 동일한 근로자(100명)을 대상으로 혈액에서 납농도도 측정하였다. 혈액 중 납은 원자흡광광도계(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의 Zeeman effect graphite furna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납의 노출농도는 노출기준(50 ug/m3)을 크게 초과하였다. 평균 호흡성 납 노출농도(115.7 ug/m3) 총 납의 노출기준을 훨씬 초과하였다. 1 &#61549;m 미만의 납(Pb1&#61549;) 노출농도의 범위는 0.7에서 492.2 ug/m3이나 되었다. 근로자의 46%가 혈액 중 납 농도 40 ug/dL을 초과하였다. 60 ug/dL을 초과한 경우도 13%나 되었다. 입자 크기가 큰 납인 총납, 흡입성 납 그리고 호흡성 납 농도는 혈액 중 납 농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p<0.0001). 그러나 가장 높은 상관은 1 &#61549;m 미만의 납(Pb1&#61549;)과 혈액 중 납과의 관계였다. T-test에서 50 ug/m3 이상의 호흡성 납을 나타낸 근로자 그룹과 50 ug/m3 이하의 근로자 그룹간에의 혈액 중 납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이러한 연구결과는 입자크기 구분이 없는 현재의 총납에 의한 노출기준과 측정방법은 미세 납 먼지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납 흡수를 보호하는데 한계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납 입자크기는 물론 근로자의 개인적인 위생과 작업내용 등을 변수로 납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요인을 찾아내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