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산폐기물 적치장 침출수의 사후관리 우선순위 평가
Priority Assessment of Leachate Management of Reclaimed Mine Waste Dump Sites
- 박창구(Chang Koo Park) 윤경욱(Kyung Wook Yoon) 김정욱(Jung Wook Kim) 정명채(Myung Chae Jung) 이진수(Jin Soo Lee) 지원현(Won Hyun Ji) 이준학(Joon Hak Lee)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자원환경지질
- 53권 6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2
- 771 - 779 (9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광산폐기물 적치장 64개소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사후 관리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하여 침출수 수질, 유출량, 기타 영향요소 등의 평가항목들과 총 10가지의 세부 요소를 선정하고 각각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가중치는 침출수의 수질 0.769, 유출량 0.147, 기타영향요소 0.084로 산출되어 관리를 위한 우선순위 선정 시 수질부문이 설문조사 평가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총 64개 적치장 침출수 평가결과는 관리의 시급성에 따라 I~V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I 등급 10개소, II 등급 1개소, III 등급 1개소, IV 등급 33개소, V 등급 19개소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priority list for post-managements of leachates from 64 mine waste dump sites in Korea. For this, leachate quality, leachate quantity, and other factors were considered as evaluation criteria and the weights of 10 subfactors were calculated using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AHP) based on a survey from 20 experts in the field of mining environment. Calculated weights were 0.769, 0.147 and 0.084 for leachate quality, leachate quantity, and other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experts consider leachate quality as most important. Based on this approach, we classified the 64 mine waste dump sites into five grades from Grade I to Grade V. Ten were classified as Grade I, 1 as Grade II, 1 as Grade III, 33 as Grade IV, and 19 as Grade V.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고찰
4. 결 론
사 사
References